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용 동화책의 어휘 분석 연구

이용수  966

영문명
An Analysis of Vocabulary in Storybooks for Preschool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현진(Hyeon Jin Lee) 김주필(Joo Phil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9권 제1호, 57~7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학령 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편찬된 동화책 260권과 교육부 발행의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동화의 어휘를 분석하여 어휘 사용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 어휘를 국어교육용 어휘 등급과 비교하여 학령 전기 아동들을 위한 동화책의 어휘 사용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책에 사용된 어휘의 수와 빈도를 연령별, 종류별, 어종별, 품사별로 분석한 결과, 동화책의 어휘 수와 빈도는 모두 고유어>한자어>혼종어>외래어 순으로 나타났다. 품사별 어휘 수는 명사>동사>부사>형용사>감탄사>관형사>대명사>수사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빈도는 명사>동사>형용사>대명사>관형사>감탄사>수사의 순서로 나타났다. 동화책의 종류별로 분석한 결과, 전래동화에는 한자어, 번역동화에는 외래어 어휘 수와 빈도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어휘 수와 빈도에서 사용비율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어휘 빈도만 가지고 교육용 기초 어휘를 선정하는 기존의 연구 방법이 어휘 빈도와 어휘 수를 함께 고려하는 방법으로 대체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해 준다. 둘째, 동화책에 사용된 어휘를 국어교육용 어휘 등급과 비교하였을 때, 대체로 동화책에 사용된 어휘들은 학령 전기 아동들에게 필요한 어휘 등급에 해당되는 비율이 65 %정도로 나머지 35 %는 학령 전기 아동들에게는 어려운 어휘들(김광해(2002)의 기준에서 4등급 이상에 속하는 어휘)이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들은 전래동화에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복합어나 파생어들의 등급을 설정하는 데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교육용 기초 어휘 선정 기준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has been evidence that the amount of reading children do predicts their vocabulary size. The more books children read, the bigger size of vocabulary they have. It is thus very crucial for children to be exposed to reading materials appropriate for each child’s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storybook might be the best source of reading for preschool children. This paper thus attempts to analyze the types and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 vocabulary used in 260 storybooks and guidebooks for the education of kindergarten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the storybooks include original Korean words much more than the words originated from the Chinese language or other foreign languages in terms of vocabulary type and that more nouns than verbs are u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nd incorporating Kim’s(2002) suggestions, we have recommended a set of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lexical classes which is deemed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of Korean to the kindergarteners.

목차

I . 서론
II. 연구목적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진(Hyeon Jin Lee),김주필(Joo Phil Kim). (2004).유아용 동화책의 어휘 분석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9 (1), 57-77

MLA

이현진(Hyeon Jin Lee),김주필(Joo Phil Kim). "유아용 동화책의 어휘 분석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9.1(2004): 5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