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교육 정책의 과제와 방향 탐색
이용수 1,287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 It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저자명
- 오성배(Oh, Sung-Bae)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4권 제2호, 149~1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면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다문화 교육 관련 정책은 중앙의 여러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되어 추진되고 있으며, 관련 예산과 조직도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 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적 방향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다문화 가정 자녀의 유형 다양화와 증가 실태를 확인하고,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관련 문헌과 자료의 내용을 근거로 현행 다문화 교육 정책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철학과 컨트롤 타워의 부재’, ‘시스템의 혼돈’, ‘대상별 특성의 간과’, ‘다문화 이해 교육의 한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다문화 교육 정책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As we are living in a global worl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meet with the need, government policy and its budget have been offered and more associated organizations are expanding its function.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licy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issues involved, and to suggest its future direction.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needs for youth education.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following are the most critical problems concerned: lack of philosophical vision and control tow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ystematic confusion; indifference toward the population’s characteristics and; limit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recommend its future direction, the study also analyzed multi-cultural policies and cases from the advanced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다문화 가정 자녀와 다문화 교육
Ⅲ. 현행 다문화 교육 정책의 문제
Ⅳ. 결론 : 다문화 교육 정책의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