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atment Efficacy of Group Vocal Hygien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Teachers: Acoustical Analysis of Voice and Self-Evaluation of Vocal Fatigu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송윤경(Yun Kyung Song) 심현섭(Hyun Sub S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4권,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0.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성위생법이란 과기능적인(hyperfunctional) 음성사용 또는 과도한 근긴장(muscletension)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음성의 개선 및 건강한 음성유지를 도모하기 위한 간접적 음성치료 방법으로, 임상에서 음성환자의 치료시 개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전문음성사용 직업인들은 잠재적 음성문제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관리의 중요성이나 구체적인 음성관리 방법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이 아닌 곳에서 그룹을 대상으로 한 음성위생법 교육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음성문제의 고위험집단 중 하나인 중등교사를, 음성위생법 교육을 받는 실험집단(10명)과 받지 않는 통제집단(10명)으로 나누어 교육 실시 전과 실시 6주 후에 음성분석(RAP, PPQ,
APQ)과 음성피로의 빈도 및 정도에 대한 자가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교육 전후의 음성분석 측정치 및 음성피로의 자가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에서는 두 가지 평가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성 위생법의 그룹교육이 교사들의 음성유지 및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전문음성사용 직업인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음성위생법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Vocal hygiene education is an indirect treatment approach in order to maintain and improve the vocal health by educating the avoidance of vocal hyperfunction or too much muscular contraction of the laryngeal system. However , the education has been offered individually to people with voice problems in the clinical setting, but not to many professional voice user s who have no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vocal health and learned the methods of vocal management .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erimentally examine the treatment efficacy of group vocal hygien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teacher 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voices of experimental group (N=10) who received the education and control group (N=10) who did not by using
three acoustical parameter s (RAP, PPQ, APQ) and self- evaluation of vocal fatigue. Voice samples for the acoustic analysis were collected just before education and 6 weeks la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oice improvement in all the acoustical parameter s and self evaluation after 6 weeks. However , the control group' s voice quality got wor se after 6 weeks. The result s suggest that group vocal hygiene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way to maintain and improve the vocal health of other professional voice user s as well as teachers.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능적 보안 · 대체의사소통 훈련이 중도장애학생의 물건사기를 위한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한국의 언어병리학 및 청각학의 발자취와 전망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전기 자극 역치와 역동범위의 변화
- Semantic Analyzability of the Intra - and Inter - sentences of the Language - Disordered Children at 2- to 3- year of Language Age
- 자폐증 아동의 조기인식 요인
- 읽기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재인간 비교 연구
- 2-5세 정상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 발달성 말실행증
- 자발화 표본 분석의 정량화를 통한 언어발달지체의 판별 연구
- 2-7세 정상아동의 /ㅅ/ 와 /ㅆ/ 말소리 발달 연구
- 음성위생법 그룹교육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사다움의 무게를 견디며 : 신규교사의 감정소진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수행의 상황학습으로서 ‘개념적 이해’에 관한 이해
- 전문상담교사의 학부모·학생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