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raming Emergency Management Knowledge Expansion within Current US Academic Curricula
이용수 7
- 영문명
- Framing Emergency Management Knowledge Expansion within Current US Academic Curricul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anet Dilli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6권 제2호, 255~2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field of Emergency Management is in a period of dramatic knowledge expansion. Practitioners from divers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all levels of government are enjoying increased visibility and resources in combating a string of media enriched disaster events.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and practitioners from multiple originating disciplines are bringing together an ever‐increasing body of written work to support the recognition of Emergency Management as a profession and as a field for academic inquiry. This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propelled by the expansion of Emergency Management issues across disciplines, the establishment of a large number of academic programs across the country, and increasing visibility of disaster and its consequences, including the most recent emphasis on terrorism and homeland security. Within the developing field, given the existing academic curricula, what are some of the core knowledge components of Emergency Management and what is the relative emphasis placed on each of the identified components. And within theses areas of emphasis, to what extent does the curricula content create intersection between originating disciplines and institutions of Emergency Management practice, or more plainly stated, between academics and practitioner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Ⅲ. Research Problem
Ⅳ. Study Rationale and Scope
Ⅴ. Outline of Process
Ⅵ. The Need for Synthesis
Ⅶ. Identifying Specific Data Sources
Ⅷ. Parle & Brown Dictionaries
Ⅸ. Narrative Summary of Methodology and Findings
Ⅹ. Conclusions: Generalization of findings to the field of Emergency Management
Ⅺ.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자치단체 관광개발사업의 위협요인에 관한 인과지도
- 기후변화에 따른 물 부족 문제의 위기관리 방안
- 한국군 아프간 재파병에 따른 IED 위협분석과 대책
- 행정학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국가위기관리의 진화
- 지자체 방재 대책을 위한 풍수해 정보 시스템 구축 방향
- 대학 연구실험실의 위험요인과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
- 재난 및 안전관리와 관련한 법․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피해지역 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실증 분석
- 지역사회 국제 운동경기장 경영위기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 테러리스트의 인터넷 활용성 증대와 대응 과제
- 재해의연금의 합리적 배분기준 연구
-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위기와 입법적 대응
- 미국의 사후관리체제의 한국 수용방안
- Framing Emergency Management Knowledge Expansion within Current US Academic Curricula
- 한중미일 일반의약품의 표시기준과 내용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