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고생이 지각한 교사 - 학생 관계와 교과 성적 및 학교교육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이용수 839
- 영문명
- Analysis for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School Education in the Girl's High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백순근(Sun-Geun BAEK) 박경인(Kyung-In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3권 제2호, 281~2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 교육의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는 ‘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와 ‘교과 성적’ 및 ‘학교교육만족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등을 통해 주요 배경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사교육’을 포함하여 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와 교과 성적 및 학교교육만족도 변인들 간의 인과모형을 설정하고, 서울 소재 여자고등학교 1학년 403명을 대상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사전에 설정한인과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SES는 사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사교육은 교과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SES와 사교육 모두 교사-학생 관계에는 유의한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사-학생 관계는 교과 성적과 학교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교과 성적은 학교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school education’ that are major variables in school education.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403 students in 11 classrooms at H girls' high school in Korea. Three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three subject-matters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re suitable for the data. Models show that ‘socioeconomic status’ affects ‘private tutoring’, and ‘private tutoring’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p<.001). ‘Socioeconomic status’ and ‘private tutoring’, however,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ould explain a reliable amou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school education’. It is also found that ‘academic achievement’ do not affect ‘satisfaction for schoo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한 인과모형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RT 능력 추정에서 정보적 사전분포에 기초한 EAP 방법과 무정보적 사전분포에 기초한 방법의 기능 비교
- Q-행렬 변화에 따른 혼합모형(Fusion Model) 모수 비교
-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의 DIF 원인 탐색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적용
- 외적 가교검사의 통계적 구성 조건 완화가 검사동등화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여고생이 지각한 교사 - 학생 관계와 교과 성적 및 학교교육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 학생 및 학교 특성 변인들이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 다집단 분석의 문제
- 보조변수를 이용한 다중대체법 시 구조방정식모형의 모형적합도
- 다층 혼합회귀분석의 소개
- 2003~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조건적 측정오차와 분류일관성
- A Comparative Study of IRT Models for Locally Dependent Reading Test Items by ESL Learners
-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를 감소시키는 교수학습활동변인 탐색
- IRT summed-score linking to achieve comparability between observed test scor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