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담화표지 ‘그래도’의 의미 기능
이용수 192
- 영문명
- A Study on Meanings of Discourse Marker ‘geurado’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김혜정(Kim, Hye-Jung)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아어문논집 제8호, 51~6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8.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meanings of not conjunction ‘geurado’ but discourse marker ‘geurado’. Discourse maker ‘geurado’ has fundamental meaning of concession. So discourse maker ‘geurado’ needs to study in social interaction in association with face work. Discourse maker ‘geurado’ shows up within
turn-taking of speaker and in front of pre-starts of reaction utterance. The result of this thesis, discourse maker ‘greuado’ was used by mitigator for speaker and listener in social interaction in association with face work. Discourse maker ‘geurado’ does funtion of ‘negation, hesitation, focus on opinion, feeling does and topic closing’.
목차
1. 머리말
2. ‘그래도’의 표현 의도 분석
3. ‘그래도’ 의미 기능 분석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 `화엄경`의 구성에 관한 고찰
- 노동요 요사의 기능성 고찰-서술어를 중심으로-
- 목차
- 삼도작품에 나타난 실존의 파라독스-`춘의설`을 중심으로
- 윤곤강 시의식의 변모 양상 고찰
- 국어 종속 접속문의 문법적 특성
- 한용운 시 연구
- 고등 학교 국어과 문법 단원의 고찰
- 이상 시에 나타나는 수와 상징
- 참고
- 청마시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미학-장자사상을 중심으로
- 한.일 양국어의 문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 김억 시론의 성격 연구
- 한국 현대시의 기호학적 연구-김광균을 중심으로
- 윤곤강 시 연구(1)
- 변새가사 연구
- 1910년대의 도시소설 시론
- 내적 변화 파생에 있어서의 형식소 설정
- 담화표지 ‘그래도’의 의미 기능
- 사동문과 재귀대명사(1)
- 이한직론-생의 방향 잡기, 그리고 향수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