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Leaf Morphological Variation of Wild Tea Population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송정호(Jeong-Ho Song) 이갑연(Kab-Yeon Lee) 박용구(Young-Go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16권 제1호, 57~6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rty-eight wild tea populations were subjected to multivariate analysis for 10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Wild tea plants were distributed in the region from 340 41' north to 360 03' north latitude, but most were grown in the region of350 north latitude. For the ten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mean values were 7.83 cm for blade length, 3.28 cm for maximum width, 2.41 cm for blade length/maximum width, 2.76 cm for upper 1/3 width, 2.54 cm for lower 1/3 width , 1.11 for upper 1/3 width / lower 1/3 width, 0.45 cm for petiole length, 0.1 7 mm for leaf thickness, 18.6 cm 2 for leaf area, and 23 .9 ea. for number of serrations. Nested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10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among populations as well as among individuals with in populations Contributions of variance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regarding the leaf characteristics, excluding blade length, upper 1/3 width / lower 1/3 width, and number of serr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between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complete linkage method showed three groups to Euclidean distance 1.9. However, populations that were close geographically did not show a tendency to cluster into the sam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3 principal components (PC) appeared to be major variables due to a load ing contribution of84.9%. The first PC was blade length, maximum width, upper 1/3 width, lower 1/3 width, and leaf area, the second was blade length/maximum width and number of serrations, and the third was petiole length.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송대 分茶와 吉州黨 茶盞의 문양장식에 관한 一考
- 曉堂의 茶詩감상을 통해본 차살림精神 小考
- Maillard 반응물인 피라진 화합물이 차류의 향지억| 미지는 영향
- 제주 녹차의 무기성분 분포특성
- 경남 선발육종 공시계통별 차나무 잎의 수량과 품질
- 차(茶)소비자의 차문화 인지도와 교육요구도의 차이 분석
- 우리 나라 野生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集團의 葉型變異
- 기계덖음 제다조건이 녹차 주요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차 품종별 각공 방법에 따른 녹차의 화학성분 및 품질특성
- 녹차분말 첨각식이각 난소절제쥐의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운남성 지역에서 수집한 차나무 잎의 형태적 특성 비교
- 차 생활을 통한 학생들의 심리 변화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Azerbaijani Grape Varieties (Vitis ssp.) by Using ISSR Markers
- Valid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Breeding High Antioxidant Traits in Thai Rice
- Efficient Seed Sterilization and Protoplast Isolation in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L.) Gaert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