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조직경영개발학회
- 저자명
- Victoria J. Marsick
- 간행물 정보
- 『조직경영개발연구』제1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창의성과 혁신은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다른 개념이다. 사람들은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조직분위기와 조직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혁신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는 조직의 관행과 절차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 개인의 창의성과 조직의 혁신은 둘 다 조직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서로 상이한 요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나온 연구들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문화에 영향을주는조직의 지원과장애물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학습을 통한 전략적 레버리지’의 틀을 이용하여 창의/혁신적인 조직문화의 핵심 요소들을파악한다.조직 차원의 지원과방해는 두 가지인데, 변형식과 거래식이 그것이다. 그러나 어떤 문화가 어떤모습이라는 것을 안다는 것이 그런 문화를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은 아니다. 창의/혁신적인 문화를 형성하는 전략들도 행동학습(AL)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행동학습은 실제 사업들에 대하여 공동으로 작업을함으로써 역량을 카우고 창의성을 함양하고 혁신을 형성하기 위해 학습프로젝트를 활용하는 개발과정을 가리킨다. 본 논문은 학신에 필요한 집단 및 조직 차원의 역량뿐만아니라창의력을개발하고 지원하기 위해 행동학습을 어떻게 설계하고활용할수 있을지 검토한다.
영문 초록
Creativity and innovation are related but different concepts. Individuals manifest creativity, and are affected by organizational climate/culture; innovation involves organizational practices and processes that bring creative ideas to fruition. Both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re influenced by corporate
culture, but different factors may be involved. Organizational supports and impediments for creative/innovation culture are here identified, based on research to date. Using the Strategic Leverage through Learning© framework, key components of creative/innovation corporate culture are identified, along with two kinds of supports and barriers in the organizatio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However, knowing what culture should look like does not mean that the organization knows how to build that culture. Strategies for building
creative/innovation culture are identified, with an emphasis on Action Learning (AL) - a development process in which talent Iearn by working collaboratively on real business challenges, and use their learning projects to nurture creativity and to build innovation in the organization. The paper concludes by examining how to design and use AL to develop and support creative talent, as well as group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needed for innovation..
목차
I. Introduction
II. Creativity & Innovation Defined
III. Organizational Cult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V. A Framework for Leveraging Learning to BuildCreative/Innovation Corporate Culture
V. Building a Cult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While Also Developing Talent
VI. Action Learning that Builds Cultures ofCreativity/lnnovation
VII. In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윤리경영연구 제25권 제1호 목차
- 지속가능성 이론에서 본 지속가능성 규제 강화를 감안한 기업의 접근 시각 검토: 기업 ESG경영 추구 시 경쟁법 적용 상의 고려 사항
- 에너지산업의 탄소감축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Shell, TotalEnergies, ExxonMobil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