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duard Spranger의 「敎師論」 硏究
이용수 46
- 영문명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金善陽(Kim, Sun-Yang)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29집, 23~3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02.28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 교사의 魂을 불러일으키고, 또 학생들의 혼을 일깨우기 위하여 지렛대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2. 사람 주위에는 자연과 문화재에 둘러 쌓여 있다.
3. 공동체로서 가정-학교-사회를 연결하여 총체적으로 보고 도덕적으로 높은 정신으로 충만된 환경만이 인간의 정신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4. 쉬프랑거는 고차적인 자아를 이상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5. 교사는 부름을 받은 자이다.
이 다섯가지 중에서 그의 교육애를 比率높게 평가하여 현대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Durch vorliegende Forschung werden folgende Punkte untersucht:Die Menschenbildung und der Entwicklungsgang von E.Spranger und Hauptgedanke von seiner Lehrerbildung.
1. Die Menschenbildung und der Entwicklungsgang von E.Spranger.
Leben und Werk
das hebel problem-auf der Suche nach Bildungsgüten-Im Geflecht der Ge
meinschaften-Erziehungsziel und Bildungsideale-Die pädagogisch Liebe
2. Hauptgedanke von seiner Lehrerbildung
"Nichts Grosses in der Welt ist ohne Leidenschaft vollbracht worden."
"Wo muss ich und die muss ich in einer jungen Seele, ja in dieser jungen Seele, Einfluss zu gewinnen streben, um sie für dauer zu bilden d.h.ihr allmählich zu einem höheren geistigen Leben emporzuhelfen?"
"Der echte Erzieher stelt derayige philosophiche Reflexionen kaum an.Er besitzt ein ursprüngliches Organ für die Bahnen, in denem der durch ihn hindurchwinkende Geist weht. Dieser Geist hat in Gemeinschaften, zu denen wesensmässig das erzieherische gehört, wie etwa in Familie und Schule, seine eigentliche Heimat. In andere wird der geborene Pädagogie ihn hineintragen ; ja er wird immer den Drang empfinden, eine jüngerschaft um sich zu versammeln, gleichsam eine Sekte im Dienst der Menschenverelung."
목차
Ⅰ. E.Spranger의 人間形成過程과 그의 活動
Ⅱ. 敎師論(Der geborene Erzieher)의 構造
Ⅲ. 敎師論(Der geborene Erzieher)의 展開
Ⅳ. 結論
參考文獻
ABSTRACT(Zusammenfassung)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터에 대한 어린이의 인식 연구
- 한국 사회 진단 방법의 문제와 교육적 처방
- 청말 근대화를 위한 교육사조
- 대학입학 시험제도의 과제
- 體罰에 관한 敎育學的 檢討
- 環境問題에 대한 價値論的 接近에 관한 연구
- The School Culture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 市場支配的事業者와 競爭의 實質的 制限
- 성인 지능발달에 관한 일고찰
- 교육연구의 새로운 접근을 위한 방향모색
- SOCRATES의 敎育的 辯證法 論考
- 韓國近代學校의 敎育理念과 敎育活動
- 수업설계이론 발달에 기초가 된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
-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의 교육관
- 안드라고지(Andragogy)이론과 성인교육 프로그램 계획
- 승당 임영신의 민족정신과 창학정신
- 中高國史敎科書에 나타난 韓國現代史象
- Eduard Spranger의 「敎師論」 硏究
- 犯罪社會學的 方法論에 의거한 犯罪原因論
- 한국동란중 전시연합대학에 관한 연구
- 1930年代 滿洲地域 抗日 女戰士 硏究
- 도덕판단과 규범위반 행동과의 관계
- 小集團 造形놀이 指導를 통한 自己表現力 伸張方案
- 평생교육의 개혁원리와 학습환경의 개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