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두엥 드 꾸르뜨네가 슬라브어학 발전에 미친 영향
이용수 23
- 영문명
- Baudouin de Courtenay'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Slavic Philology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저자명
- 표상용(Pyo, Sang-Yong)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2권 제1호, 27~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an Baudouin de Courtenay(Jan Ignacy Niecislaw) dedicated all of his long and active life to the study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He embraced the nineteenth century belief in generalizations and laws. though he conceived them in a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Junggrammatiker(Neogrammarians)"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rise of modern linguistics is associated with the names of two of its most outstanding practitioners: Ferdinand de Saussure and Baudouin de Courtenay.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Baudouin de Courtenay's contribution to the modern study of slavic philology and dialectology. As is apparent from other
researchers. it is almost impossible to separate Baudouin' s contributions to Slavic Philology from his work in general linguistics. for the study of empirical facts was for him always a springboard for broad theoretical generalizations. Unfortunately it is not possible in this brief paper to elaborate upon all of Baudouin's views and studies concerning slavic philology and. to some extent. general linguistic theory. This paper indicated here only the main areas of his interest and his major achievments in Slavics. His main fields of interest. besides comparative Slavic. are Polish. Sovenian. and Russian. In each of these areas he left a large body of work dealing with the history. structure. and dialectology of thease languages. In Slavic his name is associated with the socalled "Baudouin's palatalization"(the third palatalization of velars). "Baudouin's law" in Slavic morphology and claasification of slavic languages. He offered the first phonological typology of the slavic languages which is based on two features. stress and quantity. The presence of one or both of
these features enables Baudouin to single out five different slavic areas
목차
1. 머리말
2. 보두엥의 學歷史 및 슬라브어학 제자 양성
3. 슬라브어학 분야에 있어서 보두앵의 업적
4.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소보(Kosovo) 민족갈등에 관한 연구
- 러시아 3대두마(1907-1912)
- 19세기 러시아 텍스트에 반영된 한국의 지리적 명칭들과 전사(轉寫)의 문제
- 제2차 세계대전과 루마니아
- 우크라이나와 한국의 전통혼례 비교연구
- 유고구비문학과 한국구비문학의 비교연구
- 만주에서의 폴란드 이민사(移民史)와 그 활동
- Pronominal Words in Some Indo-European Languages and in Korean (I)
- 현대 불가리아어 한정 기술 체계 연구
- 차우세스쿠 정권의 정치과정: 정권수립에서 붕괴까지
- 보두엥 드 꾸르뜨네가 슬라브어학 발전에 미친 영향
- 헝가리 독립전쟁과 페퇴피 샨도르(Petöfi Sandor)
- 루마니아 상징주의와 시 테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국내 감귤에 등록된 살충제에 대한 환경영향지수(EIQ) 평가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