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ditional Bulgarian Folk Costumes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저자명
- 김원희(Kim, Won-Hoi)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8권 제2호, 263~28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2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나라의 의복 문화는 그 나라 민중들의 사회적 삶 속에서 해석되고 조명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불가리아의 전통 의복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다. 특별히 본 논문은 불가리아 전통 의복에 대한 형태나 형식에 대한 연구라기보다는 기능에 따른 불가리아 의복의 특성을 민속학과 관련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불가리아 전통 의복의 기능은 주로 다음의 3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는 노동과 관련된 기능과 불가리아 의복의 특성이다. 고래로 농업과 목축을 주요 산업으로 하여 온 불가리아가 농업이나 목축업과 관련하여 어떠한 의복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두 번째로는
일생의례와 관련된 불가리아 의복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인간의례와 관련된 불가리아 전통 의복의 특성을 서술하여 보았다. 즉, 아이가 출생하고 결혼하고 또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의복을 입고 어떠한 민속 문화적 의례를 치루는 지 살펴본 것이다. 세번째로는 축제와 관련된 내용이다. 불가리아의 전통 의복은 전통 축제 기간에 그 축제적 기능을 충실히 담당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 특별히 본 논문에서는 불가리아 고유의 축제를 다루어 보았고 이민족 축제(이슬람 교도나 집시 등)는 언급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불가리아 전통 의복이 갖는 다양한 전통과 특성을 서술-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 가족, 사회 계층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불가리아 전통 의복은 개별 분야에서 충실하게 그 사회적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 나이면에서는 출생, 성장(소년, 소녀기, 청년기), 결혼, 장년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었으며, 가족 관계 면에서는 결혼 유무에 의한 차이가 가장 현저하였다. 사회 계층적 성격은 농업과 목축으로 대표되는 노동 형태에 따라 특성이 달리 나타나고 있었으며 세부적으로 개인이 속한 계층에 따라 특성이 달리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적인 것과 특수한 것으로 대표되는 전통 의복은 노동을 하는 동안 입게 되는 일상복(일상복)과 출생, 결혼, 장례 등 일생 의례와 축제시기에 입는 의복(특수한 복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traditional Bulgarian folk costumes, specially related to the labor, rites of human life and folk festivals. The traditional folk costumes we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national
culture. Within the Bulgarian ethnic territory and the historical time, it was highly rich in composition, shape, colour and decoration. Its nature and ethnic implications were highly determined by the process of long history and social conditions. In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main function of Bulgarian folk costumes(village clothes) between the late of 18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on the occasions of the labor, rites of human life(birth, wedding and death) and many kinds of folk festivals all around the year.
The shirt and the chemise, apron were key elements of the traditional Bulgarian men's and women's folk costumes, respectively. The Bulgarian traditional folk costumes was worn mostly during work time and had an
expressed seasonal nature. This is evidenced by the comparatively simple cut and the composition of its separate items as well as by the fabrics used, the colour and the way of applying them. A new born baby was
swaddled for the first time in his father's shirt or his mother's apron. On the third evening, when it was believed that the fairy god-mothers(Орисниците) would come, the baby would be dressed in a special shirt. According to the Bulgarian tradition, during the wedding(the biggest event in one's life) the bride would stand out with the most beautiful costumes. Also the performers of certain rites would wear items of the men's and women's wedding costumes.
목차
<국문 개요>
Ⅰ.들어가는 말
Ⅱ. 중심 말
Ⅲ.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케르테스 임레 소설의 구조적 특징
- 체코문학에 나타난 나치 전쟁의 영향
- 표준체코어의 기능적 층위에 대한 분석
- 구소련 지역에서의 러시아어의 위상과 그 전망
- 루마니아의 파시즘
- Discourse of Caucasian Captives Focusing on V.Makanin
- 불가리아 의복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 The Dostoevsky Tradition and Its Influence on Chekhov
- Auf nach Ungarn! – Der Puszta wegen?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어 인터넷 용어 연구
- 이르지 볼케르(Jiří Wolker)의 발라드 문학
- 루마니아 출생의례의 예언 및 명명 풍습
- 스와보미르 므로젝의 <미망인들>(Wdowy)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 연구
- 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과 국가발전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용인 고려백자문화를 활용한 문화도시 창출 - 용인시와 일본 카사마시를 중심으로
- 지역성의 발명 - 성남시 사랑방문화클럽 사례를 통한 지역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 경기지역학연구 제12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