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주신경과 연결된 중추신경로내 Catecholamine성 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이용수 57
- 영문명
- Study on Catecholaminergic Neurons in Central Pathways Supplying the Vagus Nerve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황광민(Kwang-Min Hwang) 이봉희(Bong-Hee Lee) 김은아(Eun-Ah Kim) 김명옥(Myeong-Ok Kim) 백상호(Sang-Ho Baik) 이부영(Boo-Young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1권 제1호, 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주신경의 중추신경 경로를 구축하는 한편 미주신경에 이어진 신경핵중 catecholamine성 세포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하여 흰쥐 목부분의 미주신경에 신경추적자인 pseudorabies virus를 주입하고 바이러스가 뇌로 충분히 이동하도록 76~96시간을 경과시킨 뒤 뇌조직을 절제하였다. 이 조직을 재료로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과 바이러스와 catecholamine에 대한 이중형광염색 반응을 시행하였다.
관찰결과 미주신경의 1차핵인 미주신경 등쪽핵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과 의문핵 (nucleus ambiguus), 2차핵인 고립로핵 (nucleus tractus solitarius)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간뇌의 뇌실옆핵(paraventricular nucleus)과 종뇌의 편도중심핵 (central nucleus of amygdala), 섬피질 (insular cortex), 뇌궁아래기관 (subfornical organ), 뇌줄기의 청색반점 (locus ceruleus)과 팔옆핵 (Parabrachial nucleus), 그리고 A1, A5, A7, C1, C2 세포무리에도 염색반응이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바이러스와 catecholamine성 세포에 대한 이중면역형광반응에 모두 양성을 보인 곳은 A5, A7, A1/C1 부위 그리
고 청색반점과 팔옆핵 등으로 나타났으며 부위에 따라 반응 강도와 세포 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미주신경은 뇌실옆핵을 비롯한 중뇌, 뇌줄기 등의 여러 신경핵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어 catecholamine미주신경의 상위 조절기능에 관여하고 있다는 형태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arry out the reconstruction of whole tract of the vagus nerve using new powerful
neurotracer which can migrate easily to the neighboring neurons through synapse and identify whether
catecholaminergic neurons exist or not in the central vagal pathways.
Pesudorabies virus (PRV-Ba) was used as a neurotracer and antibody to the PRV-Ba was used to localize the tracer in neurons immunohistochemically. The PRV-Ba was injected into the cervical portion of the vagus
nerve of Sprague-Dawley rats. After 3 to 4 days of survival periods, brain tissues were fixed, sectioned and
stained using anti-PRV-Ba and ABC method subsequently.
Motor neurons of the vagus nerve were originated exclsively from dorsal motor nucleus of the vagus nerve and nucleus ambiguus in the medulla oblongata which project fiber by way of nucleus tractus solitarius up to the cerebrum including the paraventricular nucleus.
Double labelled neurons were found mostly throughout the brainstem. The adrenergic inputs arose from the C1, C2, and C3 cell groups. Noradrenergic inputs originated predominately from A5 cell group, with lesser
contributions from A1 and A7 cell groups as well as locus ceruleus. Some weakly stained TH-immunoreactive
neurons, presumably dopaminergic, were labelled in the paraventicular nucleus.
In conclusion, motor neurons projecting to the vagus nerve includes noradrenergic neurons of the brainstem
and from a dopaminergic neurons in the paraventicular nucleu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흰쥐 가슴샘을 지배하는 운동 및 감각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
- Vibrio vulnificus의 흰쥐 돌창자상피내 침투에 관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연구
- 흰쥐 뇌줄기에서 Cholera Toxin B Subunit를 이용한 턱밑샘 지배 신경의 위치 추적
- 상백피가 Substance P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 백혈구 침윤 및 혈관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
- 새로운 흰쥐 Ulip 유전자의 흰쥐뇌 발달과정에서의 발현양상
- 미주신경과 연결된 중추신경로내 Catecholamine성 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 5, 7-DHT가 흰쥐 등쪽솔기핵내 신경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 5, 7-DHT가 흰쥐 등쪽솔기핵내 Serotonin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 흰쥐 망막에서 콜린성 신경원의 분포양상과 연접회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