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ibrio vulnificus의 흰쥐 돌창자상피내 침투에 관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Invasion by Vibrio vulnificus to the Ileal Epithelium of Rats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김형태(Hyoung-Tae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1권 제1호, 63~7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Vibrio vulnificus는 대부분 구강과 피부를 통해 감염되고 드물게는 외이도, 결막, 자궁 등을 통해서도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적으로 Vibrio vulnificus에 의한 감염증은 상처감염증, 원발성 패혈증, 위소장염, 및 기타 감염증 등 네가지로 분류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상처감염증과 원발성 패혈증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고 창자내 감염에 관한 것은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가 없는 Vibrio vulnificus의 감염시 창자상피내 침투의 초기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돌창자에 균을 직접 주입한 다음 5, 30, 60, 120분후 절취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균의 창자상피내 부착 및 침투 양상을 광학현미경, 투과 및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Vibrio vulnificus는 돌창자내에서 균주입 5분후부터 상피세포의 종류에 관계없이 많은 균들이 상피표면에 위치해 있었다.
균주입 30분후 상피세포 자유면에 묻혀있는 Vibrio vulnificus가 관찰되었는데 이때 상피세포의 미세융모가 소실됨과 동시에 내강쪽 세포막은 함입되어 있었다. 함입이 일어난 부위에서는 균과 세포막사이에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암대가 출현하였고, 해당부위의 세포질내에서도 미세사로 형성된 두터운 암대가 관찰되어 포식작용의 초기현상을 보였다.
균주입 60분과 120분후의 창자상피에서는 여러정도로 손상된 상피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어떤 부위에서는 미세융모만 심
하게 파괴되어 있었는데 이 부위의 상피표면에서는 많은 수의 균이 관찰되었다. 또 다른 부위의 상피세포는 내강쪽 표면전체가 움푹패어 있었으나 세포막은 잘 유지되어 있었고 패인 부분의 표면에서는 균과 함께 유출된 세포 잔유물이 관찰되었다. 움푹패임이 없는 일부 상피세포는 세포막이 파괴되어 있었고 세포질내 구조물이 내강으로 유출되어 있었으며 세포안에서 균이 관찰되었다. 또한 상피세포가 탈락되어 없어진 부위도 관찰되었는데 이런 부위에서도 소수의 균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Vibrio vulnificus에 의한 흰쥐 창자점막의 초기손상은 상피세포의 포식작용과 균의 내강쪽 세포막 파괴작용에 따른 상피세포의 파괴 및 탈락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추측되었다.
영문 초록
Vibrio vulnificus (VV) is known to cause the wound infection, primary septicemia, gastroenteritis and other
infection. The reports about the gastroenteritis by VV are very rare, and especially the mechanism of the invasion into the intestinal epithelium by VV is not known. In the present study, the rat ileum injected locally
and directly with VV for 5, 30, 60, 120 minutes were examined by light,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VV were found on the surfaces of absorptive cells, goblet cells, and M
(microfold) cells after incubation of 5 minutes. Microvilli of the epithelial cells were lost partially after
incubation of 30 minutes. Microvilli of many epithelial cells were lost, and VV invaded vertically into the
epithelial cell after incubation of 60 and 120 minutes.
By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VV attached and invaded by various degree into the epithelial cells after incubation of 30 minutes. Microvilli of luminal surface of the epithelial cell were lost partially and invaginated at the portion that VV contacted. Rich microfilaments were assembled just below its invaginated luminal membrane of the epithlial cell and represented 500 nm thick band. Electron-dense dark band, 30~90 nm, was found between VV and the invaginated luminal surface of the epithelial cell. At 60 minutes after injection, the luminal surface of some epithelial cells showed the loss of microvilli and the irregular structures protruding into the lumen. At 120 minutes after injection, the damage of the epithelial cells was prominent and extensive. In relation to VV, microvilli of the epithelial cells were lost and protruded as bleb-like or irregular structures. Luminal plasma membranes of many epithelial cells were ruptured, through which cell organelles and inclusions discharged into the lumen. VV were found within the damaged epithelial cell as well as in the defective intercellular space of the epitheliu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arly mechanisms of the invasion into the epithelium of rat ileum by VV are endocytosis and cytolysi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흰쥐 가슴샘을 지배하는 운동 및 감각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
- Vibrio vulnificus의 흰쥐 돌창자상피내 침투에 관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연구
- 흰쥐 뇌줄기에서 Cholera Toxin B Subunit를 이용한 턱밑샘 지배 신경의 위치 추적
- 상백피가 Substance P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 백혈구 침윤 및 혈관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
- 새로운 흰쥐 Ulip 유전자의 흰쥐뇌 발달과정에서의 발현양상
- 미주신경과 연결된 중추신경로내 Catecholamine성 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 5, 7-DHT가 흰쥐 등쪽솔기핵내 신경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 5, 7-DHT가 흰쥐 등쪽솔기핵내 Serotonin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 흰쥐 망막에서 콜린성 신경원의 분포양상과 연접회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