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셀로』재현을 둘러싼 왕정복고기 공연 관행과 성 정체성 탐색
이용수 104
- 영문명
- Restoration Theatrical Practices and Sexual Identity in the Representation of Otello: Stage Beauty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민경(Mi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93호, 133~1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ichard Eyre's Stage Beauty, which is based on the Compleat Female Stage Beauty
written by Jeffrey Hatacher, represents Restoration theatrical practices via the performance of Othello In the beginning of the movie, Ned Kynaston is on the peak of his career as a female impersonator However, when Charles Ⅱ proclaimed a law allowing women on stage and banned men from playing female roles, his very existence was threatened Even though he had no other choice but to play a male role, he was unable to shake off the female characteristics he had been training since his boyhood After this downfall, he struggled to play male characters but he failed When he helped Maria play Desdemona, he overcame the female stereotype he internalized and succeeded in playing Othello Stage Beauty, dealing with performance, gender, and sexual identity, reveals many cultural aspects of Restoration cultur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temporary theatrical practi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조분석과 번역에 있어서의 등가에 관한 연구
- Bilingual Dictionary Use and Incidental Lexical Acquisition in Korean EFL Reading
- 원고작성 및 편집양식 외
- 『오셀로』재현을 둘러싼 왕정복고기 공연 관행과 성 정체성 탐색
- 영어말하기 코칭수업의 효과성 연구
- Reinforcement of Hegemony through Satire in The Knight of the Burning Pestle and A Midsummer Night's Dream
- 영국 낭만기 여성시인들의 목소리
- Death as an Existential and Finitude of Possibility in Being and Time
- Formative assessment study for student-centered learning
- 마크 트웨인과 젠더
- 『메뚜기의 날』(The Day of the Locust)과 미국의 문화 산업
- The Levinasian Notion of Il-Y-A Applied to and Analysis of Iris Murdoch's The Bell
- 카프카와 핀터의 『심판』
- The Portsmouth Episode in Mansfield Park
- 에머슨의 『대표인』(Representative Men)에 나타난 동양사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화 <작은 아씨들>의 리메이크 전략: 멀티모달리티를 중심으로
- 코퍼스 분석을 기반으로 한 『빌레트』의 서술적 특징 연구
- 백인 교외의 ‘좋은 삶’에서 배제된 모성과 시민권: 셀레스트 잉의 『작은 불씨는 어디에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