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de gloss in Korean English users' academic writing.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엄철주(Uhm, Chul-Joo) 문서은(Moon, Seo-Eun) 이승희(Lee, Seung-Hee) 오경옥(Oh, Kyung-Ok)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21권 3호, 247~2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use of code glosses in Korean English users' (KEU) academic writing, First, using Hyland's(2007) model, we examine the frequency and type of code glosses (reformulation and exemplification markers) in six distinct fields of KEU's academic writing. Second, we compare this data with Hyland's native English speaker data. Analyzing humanities and science writings, this paper reveals that both areas use more reformulation markers than exemplification markers, and specifically, humanities departments use much more code glosses than science departments. When Korean academic writing is compared with research done on native English speakers,' we can see that the latter use a relatively balanced mixture of code glosses with a greater variety of markers than the former dose. Although each academic discipline has different communicative requirements, Korean English users need to balance their use of markers and use a more diverse range of code glo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fferent use and frequency of code glosses can help academic writers write about their fields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요청'에 나타나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어휘 사용에 대한 코퍼스적 분석
- The Machinery of Turn-taking in L2 Instructed Talk-in-interaction
- EFL Learners' Rewriting Strategy in English Composition
- 한국인 영어 사용자의 전공 영역별 학문적 글쓰기의 특성 연구
- The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 Proficiency and Age in Metalinguistic Attainment
- Factors Influencing Speakers' Feeling of Security during L2 Communication
- A Study of an ESP Program for University Engineering Students
- 원어민영어보조교사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Examining the Effects of Self-Evaluation in an EFL Pronunciation Class
- e-Learning 국제교류협력 프로젝트를 통한 초등학생들의 영어학습 사례연구
- The Use of Microteaching in Prospective English Teacher Training
- 초·중등 영어수업개선 활성화를 위한 영어수업개선 연구대회 분석 및 개선방안
- 개정 중등영어교과서의 스토리 기반 과업활동 분석
- 언어형태초점 교수법을 적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생의 듣기 및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L2 Motivation and Writing Performance by Proficiency Level: A process Approach to Motiv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