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파견 관리자의 국제경험이 현지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3
- 영문명
- InfluenceOfInternationalExperienceOfExpatriateOnCross-CulturalAdjustment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권종욱 김재창 김정원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6권 제3호, 47~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외파견 관리자들의 국제경험이 해외파견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파견기간과 국제화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경험이 현지파견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해외파견 한국다국적기업 관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분석결과 첫째,다양한 경험변수 중 업무파견기간만이 일반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파견 횟수보다는 해외파견기간이 더욱 현지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둘째,현재 파견근무 기간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즉 현재의 파견기간은 기존의 해외파견경험이 현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지는 않았다.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해외파견근무기간이 길어지면서 과거의 경험이 비로소 도움이 되는지 혹은 현재의 파견기간이 짧을수록 도움이 되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셋째,국제화수준은 직무적응과 상호교류적응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그러나 일반적응의 경우 업무파견기간과 연수파견기간이 현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즉 국제화수준이 높은 조직에 속한 파견관리자일수록 기존의 국제경험이 현지적응에 더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experience of expatriate managers on cross-cultural adjustment. The existing studies showed the mixed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xpatriate adjustment. Given the uncertain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xpatriate adjustment, we investigated that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current assignment tenure played moderate role i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xpatriate adjustment with data from Korean expatriate managers.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firm's internationalization and international experience on expatriate adjustment. In addition, expatriate period had a greater effect on expatriate adjustment than expatriate frequency on expatriate adjustment.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current tenure and international experience.
목차
국문초록
Ⅰ.서 론
Ⅱ.이론적배경과 가설설정
Ⅲ.연구 방법
Ⅳ.자료의 분석 및 결과
Ⅴ.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단법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정관 외
- 조직공정성과 상사신뢰, 직무긴장, 이직의도와의 관계 및 조직정치 지각의 매개효과
- 한국대학의 혁신을 위한 전략유형과 성과
- The Effects Of Business Strategy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R&D Within MNCs
- 고몰입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탐험에 미치는 영향
- 군 조직 내 소외현상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실태와 기업성과 분석
- 개인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 해외파견 관리자의 국제경험이 현지적응에 미치는 영향
- 부산항운노동조합 내부운영의 개혁과제
- 중소기업 CoP특성과 조직시민행동간 관계 실증연구
- 우리나라 임금피크제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 제약산업의 전략, 영업사원역량, 조직구조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