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갑판적 운송화물에 대한 국제물류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2
- 영문명
- Study on the Carrier's Liability for Claims in Deck Cargo of International Trade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송채헌(Song, Che-Hun) 박종은(Park, Jong-Eun)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19권 제2호, 255~2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해상물류의 갑판적 운송 및 갑판적 운송에 따라 발생하는 국제해상물류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의 범위와 한계를 형행 법테두리 안에서 국내 사례와 외국 사례의 대조를 통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최근 들어 한국법원은 타 국가와는 대조적으로 국제해상물류운송인보다 화주의 입장을 많이 대변하는 판결을 함으로써 국제물류의 갑판적 운송으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할 경우, 국제해상물류운송인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책임을 부담하는 경향이 많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국제해상물류는 컨테이너로 단위화가 되고 또 전문 컨테이너선 역시 컨테이너들을 갑판적 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건조가 되는 선박인 만큼 해상물류운송의 실무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국제해상물류의 갑판적 운송은 당연한 행위이다. 최근 학계에서도 전문 컨테이너선일 경우, 컨테이너를 선창의 연장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그러므로 국제해상물류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법원의 현행법의 해석에 관한 제고가 요구된다. 반면 국제물류운송인 역시 현실적으로 국제물류운송 시 컨테이너의 갑판적 운송이 불가피하므로 화주와의 물류운송계약 시 법률적인 시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약단계에서 많은 주의와 고지가 요구된다. 또 이를 위하여 한편으로는 전문화된 종합물류법률서비스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gave a decision on a sentence "2006가 합8979“ lately. That was in association with transportation on deck and ocean carrier's liability for claims, Seoul low court declared the guilty for ocean carriers who did carriage of goods on deck without on contractor motion.
The deck stowage is that goods are shipped on a platform extending from one side of a ship to the other. These days, Deck transportation is becoming generalization because of advancing a containerized shipment. Actually, more than a third of the whole container cargo in a container ship is carried by deck stowage. In spite of that, Seoul low court ruled that ocean carriers were out of order.
This judgement was not fair. If ocean carriers had guilt, it would be inhuman to them. In pre-container times, the deck shipping was unlawful because if goods were on deck stowage, it would be damaged or injured and lost by seawater. In the post-container era, even if goods were on deck stowage, it would be no more wonder. The container protects goods from rain, snow, sunshine, flood etc.
So, the ocean carriers who did on deck stowage are not under Korea Business Law, article 799.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갑판적 운송에 대한 국내외입장 및 선고 2006가 합 8979의 연구
Ⅲ. 법원 판결내용 및 문제점
Ⅳ. 국제(해상)물류운송인의 향후 대응방향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공포워더의 항공사선택요인에 대한 연구
- 우리나라 파렛트 사용량에 대한 실증적 분석
- 물류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 갑판적 운송화물에 대한 국제물류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 물류센터 한국산업규격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철도화물수송 활성화를 위한 모달시프트(Modal Shift)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경제 활성화와 물류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SCM 실행기업들의 파트너십이 실시간 기업의 특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복합운송주선인의 화주에 대한 책임체계에 관한 연구
- 물류기업의 내부마케팅이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정관 외
- 컨테이너선사의 터미널 결정시 ON-DOCK 서비스 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국가물류보안체계 고도화를 위한 물류보안표준참조모델 구축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