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林沔浩의 〈陳玄傳〉에 대하여
이용수 31
- 영문명
- A Study of Myonho Lim(林沔浩)'s on Ink-cakes(陳玄傳)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강현경(Hyun-kung, K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0輯, 57~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torduced Myonho Lim(林沔浩)'s on Ink-cakes(陳玄傳).
To the best of my knowledge it has been unknown to academic circles. The work is contained in the author's Posthumous Manuscripts. It seems to have been written in 1792. Seeing his career(1750-1831), it falls in his middle ages.
His Posthumous Manuscripts is a garland written in Chinnese characters. I have found it in the Nak-Eun Archives(樂隱文庫) of Professor Jeonseop Kang as well as a good deal of poetry and prose. Considering his some poems and proses, it is arguable that he was a talented poet and a man of keen observation to trivial things in his daily life. Hence, the works On Ink-stone(詠硯). On Potted Maehwa(盆梅詩). On Web(蜘蛛網). On Bamboo Pillows(文竹皮枕). On the Seal of State(傳國璽銘), On Mrs. Bamboo(竹夫人銘). Each subjects are personified in the works.
In his on Ink-cakes, he vividly personifies Ink-cakes, and creatively embodies their 'life' as well as its usage and figure with an outstanding observation. Furthermore, he quotes some related references from Chinese literature. By doing this, he follows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which tells moral lessons for man by describing natural things.
In short, I think On Ink-cakes in which ink-cakes are impersonate should b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Korean personification literature, and should be evaluated, while it doesn't deviate from the tradition, in respect that it is well-structured in its frame, plenty in content, keen in observation, vivid in expression with contrast to other similar personification work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교육과 서사적 정체성
- 근대계몽기 국문 담론 양상과 언문일치
- 교체형 유음 중첩어 및 대칭형 도움 중첩어의 인지 및 발화 요소 연구
- 對話體 長時調의 類型과 意味
- 충남지역 동제의 성격과 제의구조 고찰
- 林沔浩의 〈陳玄傳〉에 대하여
- 語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담화표지 ‘그러니까’의 사용에 내재한 화자의 담화전략 연구
- 유치환 시에서의 무한(infinity)의 의미 연구
- 한국시 운율 이론의 반성적 고찰
- 이토정 ‘수묘축방(守墓築坊)’ 관련 기록과 현지전설
- 지역 문학의 정체성과 토포필리아의 상관성
- 최분례 화자의 경험담과 구연 자료와의 상관성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의 연회와 서사 전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