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체형 유음 중첩어 및 대칭형 도움 중첩어의 인지 및 발화 요소 연구
이용수 171
- 영문명
-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alternative and symmetrical Korean reduplication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강석한(Seok-han, K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0輯,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ternative reduplication achieves the semantic emphasis through asymmetrical coordination between the base and the reduplicant based on the maximum difference of F1 in vowels, or syllable duration in consonaants. These asymmentrical distribution of acoustical cues causes the perceptual enhancement in the alternative reduplicaiton. On the other hand . C-C symmetrical reduplication gains the goal through overgeneralization, in which the first symmetrical reduplication gains the goal through overgeneralization, in which the phoneme in the first syllable of the reduplicant copies back to the first syllable of the base. Generally , alternative reduplication of '⌀-C symmetry' formation gets the emphatic formation using the perceptual prominence to C-C symmetry formation. This overgeneralization is controlled by phonological and analogical conditions.
While the vowel alternative reduplication changes into C-C symmetrical form, both consonantal alternatives with deletion and syllable alternative reduplication cannot be changed into C-C symmetrical forms. The similar reason could be applied to the consonantal alternatives with deletion and syllable alternative reduplication cannot be changed into C-C symmetrical forms. The similar reason could be applied to the consonantal alternatives with addition, in which 'p' and 't' occurring in the onset of the base form could be prohibited to change into symmetrical reduplication. In summary, the pure reduplication which repeats the base improves the semantic emphatic through non-morphological motivation : perceptual and production effec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교육과 서사적 정체성
- 근대계몽기 국문 담론 양상과 언문일치
- 교체형 유음 중첩어 및 대칭형 도움 중첩어의 인지 및 발화 요소 연구
- 對話體 長時調의 類型과 意味
- 충남지역 동제의 성격과 제의구조 고찰
- 林沔浩의 〈陳玄傳〉에 대하여
- 語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담화표지 ‘그러니까’의 사용에 내재한 화자의 담화전략 연구
- 유치환 시에서의 무한(infinity)의 의미 연구
- 한국시 운율 이론의 반성적 고찰
- 이토정 ‘수묘축방(守墓築坊)’ 관련 기록과 현지전설
- 지역 문학의 정체성과 토포필리아의 상관성
- 최분례 화자의 경험담과 구연 자료와의 상관성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의 연회와 서사 전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