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lliance Model of the Family and Its Empirical Test : Women’s Economic Status and the Risk of Spousal Aggress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태재준(Tae Jae-joo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1집 2호, 29~5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가족동맹 모델과 배우자 공격성의 비판적 교환 이론으로부터 파생되는 몇몇 가설들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한국복지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남편 대비 아내의 상대 소득과 배우자폭력의 위험도 사이의 관계가 조사되었다. 분석 결과, 아내의 상대 소득과 아내폭력의 위험도 사이에는 M자 관계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남편들이 아내의 경제적 지위에 대해 양가감정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아내의 상대 소득과 남편폭력의 위험도 사이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some hypotheses derived from the alliance model of the family and critical exchange theory of spousal aggression.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wives’ level of income relative to that of their husbands and the risks of spousal aggression were examined, using the first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having been conducted in 2006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wives’ relative level of income and the risks of husband-to-wife violence were likely to be M-shap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usbands might have ambivalence about their wives’ economic status, supporting main predictions from two theor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wives’ relative level of income and the risks of wife-to-husband violence,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목차
I.서론
Ⅱ.가족동맹 모델(The Alliance Model of the Family)
Ⅲ.배우자 공격성의 비판적 교환 이론(Critical Exchange Theory of Spousal Aggression)
Ⅳ.자료와 분석 방법론
Ⅴ.분석 결과
Ⅵ.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