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孟子心性論小考
이용수 179
- 영문명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金洪仲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8집, 111~12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性論, 自古以來爭議不를 休子實踐仁, 以證天道, 樹立聖賢人格的典型, 孔子 “性相近, 習相遠” 孟子 “言性善”, 告子主張 “性無善無不善” 孟子一書 告子與 孟子對人性爭論。 告子的 “性猶杞柳, 義猶桮棬” 的出發點, 在於其心性論的 “無善無不善”。 此因告子看人性, 着眼於 “生之謂性” 與 “食色, 性也”。
就 “生之謂性” 難以知道告子心性論的眞義, 因孟子也以仁義證人性, 然而, 以 “食色, 性也” 可見告子人性論的實意。 告子認爲人性本無仁義道徳, 於價値上僅是社會制約, 外在附加的規範, 人性並非自然産生, 自産要求。 因此, 將杞柳與桮棬的關係, 不以分析關係, 而以綜合關係理解, 人性比喩爲杞柳, 仁義比喩爲桮棬。
儒家生命哲學重要槪念的心性, 孔子說 “性相近, 習相遠”, “其心三月不違仁” 等, 但未論 兩者關係。 儒家心性學問自孟子, 所謂内聖外王而言, 孟子對心性論據大有發展, 荀子較强於政治社會部分。 孟子思想中, 言內在的理性爲先天的, 其義理性, 仁義禮智, 因先驗之故, 不心待後天的學習, 因此說, 仁義禮智, 非由外鑠義也, 我固有之也(吿子上)
孟子的心性論, 就良知良能開端。人之所不學而能者, 其良能也; 所不慮而知者, 其良知也。 (孟子, 盡心上15) 孟子曰: “盡其心者, 知其性也, 知其性, 則知天矣, 存其心, 養其性, 所以事天也。(孟子, 盡心上1) 鏓體而言, 卽指本心, 分析而言, 卽四端之心。 惻懚之心, 仁之端也。羞惡之心, 義之端也。 辭讓之心, 禮之端也。是非之心, 知之端也。(孟子, 分孫丑上) 盡心就是對仁義禮智盡其至善。
孟子證明人有仁心, 就言義, 禮, 知的羞惡, 辭讓, 是非之心, 因爲仁義禮智乃一理之 四面。 “魚與熊掌不能兼得” 中, 對於義有具體說明。知是非, 辨善惡, 自我負責, 乃爲人禽之辨的第一階段, 孟子將人的價値, 無限提升。 孟子主張性善, 肯定人的價値自覺與道徳意識, 樹立儒家思想的德之敎的典範。
목차
Ⅰ. 序論
Ⅱ. 心性論의 根柢
Ⅲ. 仁義內在說
Ⅳ. 心性과 天命
Ⅴ. 結論
參考文獻
中文摘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요인 연구
- 가상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
- 漢語縮略語初探
- 强姦犯罪와 그 對應方案
- 일본 지방분권개혁의 문제점과 과제
- 孟子心性論小考
- 이야기 자료를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 모형
- 지방행정 환경의 변화추세와 개혁방안
- 刊行辭
- A Study of pro-drop in English
- 예이츠의 시 세계와 사상
- 唐代의 科擧制와 社會
- 광고모델선정에 있어 PSI척도적용의 타당성 연구
- 해남의 지명연구
- 완결상 체계에 대한 한영 비교 연구
- 중국농촌사회의 분화에 관한 연구
- 한국제조업의 지역별 생산구조의 차이
- 고려말 무장세력의 군사적 배경
- 자음군 간략화에 대한 CV 음운론적 분석
-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분석을 통한 노년기 적응유형 연구
- 지역경제의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