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직문화, CEO 리더십과 조직혁신과의 관계
이용수 3,722
- 영문명
- Organizational Culture, CEO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Local Public Enterprises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박동수(Park, Dong Soo) 김철의(Kim, Chul Yi)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제32집 4권, 85~12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직문화와 CEO리더십 변수가 조직혁신에 대해 미치는 영향과, 조직혁신과정 및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가 조직혁신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연구로 확인하였다. 혁신문화, 관계문화, 위계문화가 공기업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기업 혁신에서 거래적 리더십 유형의 조건적 보상 리더십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임이 밝혀졌다. 셋째, 혁신과정에서 조직문화와 리더십의 차별화된 역할을 확인하였다. 혁신도입과 실행단계에서는 조직문화가, 혁신성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리더십이 더욱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혁신도입유형에 따른 성과차이를 확인하였다. 공기업의 조직혁신 도입유형으로는 정당성 요인보다 합리성 요인에 의한 경우 혁신실행의지와 혁신성과 및 조직의 전반적 성과에 대해 일관되게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혁신성과와 조직성과간의 관계에서 ‘정부정책 준수’ 성과는 조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방공기업의 조직문화 프로필을 확인하였다. 위계문화, 과업문화, 관계문화, 혁신문화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CEO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local public enterprises show the major finding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eems to prove empirically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s an effect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It shows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decision making for both adopting and implement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Second, it also reveals that CEO's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significant impacts on adoption, implementation and outcom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rd, it also suggests that the rationality factor rather than the legitimacy factor consistently shows actual significant impacts on the willingness to do innovation implementation, the innovation outcome, and the organizational overall performance.
Lastly, it shows that the outcome of management rationality has an signific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he result of the government policy observance by the legitimacy factor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s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government policy should change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in relation to the innovation outcom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futu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policy should focus more on the 'software' approach such 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CEO leadership than the 'hardware' approach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