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특성화와 연구 성과
이용수 476
- 영문명
-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장수명(Soo-Myung Jang) · 최상덕(Sang-Duk Choi)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8권 제1호, 167~19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과 학과의 특성이 교수진의 연구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정보공시제 자료를 활용하여 학과별 교수의 연구 성과를 교수 1인당 학술지 게재 논문수로 측정하여 학과의 특성, 대학의 특성, 계열별 집중도 등 특성화 변수들이 학과 단위 연구 성과에 미친 영향을 회귀 분석하여 다음의 분석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과의 박사과정 학생수가 교수진의 연구 성과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둘째, 석사과정 학생수는 연구 성과를 높이지 않는다. 셋째, 교수진의 수는 일정한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며 일정규모 이상의 교수진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많은 수업 시수는 연구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학생수 비율로 측정한 대학 특성화는 세분화된 계열 집중만이 제한적으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수진의 규모가 일정한 이상 되는 박사과정 중심의 연구중심 대학원 특성화가 학과단위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on professors' research performance. Utilizing leased university information, we gauged professors' research performance at the department level and explored how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and student concentration in a certain field affect the research performance. From our regression analysis, we conclude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Ph.D students play a decisive positive role in research performance. Secondly, the number of master students do not help that performance. Thirdly. the department faculty size also affects positively, showing the economy of scale. Fourthly, long teaching load has a negative effect on research activity. Fifthly, student concentration ratio has only a very limited positive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 centered doctoral program at the department level with a large size of doctoral students and faculty is a possible specializ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관련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