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북지역 성인여성들의 가공 식품 구매행동,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이용수 164
- 영문명
- Purchas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Labeling among adult women in Chungbuk Provinc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기남(Ki Nam Kim) ‧ 김은예(Eun Ye Kim) ‧ 배진아(Jin A Bae) ‧ 김명숙(Myoung Sook Kim)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12권 제2호, 129~13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1.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urchas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s,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labeling among adult women in Chungbuk area. Subjects included 120 female college students, 93 housewives and 70 dietitians of primary schools. Thre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November 2006 to January 2007, and 283 were collected. Processed foods frequently purchas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milk/dairy products"(30.8%) and "snacks"(25.0%); those by housewives were "milk/dairy products"(45.6%)
and "ramen"(19.65); and those by dietitians were "milk/dairy products"(67.1%) and "chocolate/candy"(14.3%). In terms of the selection criteria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s, the female college students answered "taste," and both the housewives and the dietitians did "nutrition." Both the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housewives considered "period of circulation"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nutrition labeling, while the dietitians considered "ingredients/raw materials." Both the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dietitians marked lower reliability scores than the housewives. All of the three groups expressed "Nutrition labeling should be easy to understand" as a demand in the highest percentage. In terms of application of nutrition labeling, 32.9%, 22.5%, and 11.8% of the dietitians, female college students, and housewives, respectively, answered they "always" read nutrition labeling. The proportions who read nutrition labeling were lowest in the housewife group than the other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purchas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s,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labeling.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application of nutrition label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내용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패션액세서리의 현대적 가치
- 현대패션에 표현된 레이스 소재의 이미지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성격특성 및 부모의 양육일치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일-생활 균형을 위한 유럽연합의 정책동향과 한국에의 함의
- 유치원 운영시간, 부모의 학습관여, 유아의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중매체(신문, 잡지, TV)에 나타난 식품광고의 내용 분석
- 청주지역 외식업체에서 제공되는 수육 및 부가식품의 미생물 위해분석
- 알파걸과 비알파걸의 소비스타일 비교
- 초등학생 대상 비만관련 도서의 평가
- 노래방의 입실 후 시간경과에 따른 실내공기오염농도
- 소비자안티사이트 현황과 평가
- 컬렉션에 표현된 모피소재의 봉제기법 분석
- 여러 가지 새싹채소의 항산화영양소와 아질산염 소거능
- 현대패션에 표현된 스트라이프패턴의 이미지 분석
- 노인전문병원 환자식의 급식품질 분석
- 충북지역 성인여성들의 가공 식품 구매행동,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