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the Speaker's Politeness Morpheme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남미혜(Nam, Mi-hye)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16권 2호, 193~21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orpheme "-sab-" is used in the contemporary Korean historical drama scenario.
Since the "-sab-" is always used with a word(s) showing the meaning of politeness, its function is to express speaker's politeness. Especially, the politeness word is optionally used with the morpheme “-sab-“ but the ”-sab-“ is always required to use with the politeness word. A grammatical principle to express the politeness is generally related to the speaker's intention. Although the “-sab-“ does not exist in the sentence presenting the politeness, the sentence does not have any problem with the grammaticality. The “-sab-“ is limitedly used in the addresseehonorifics scale. In the scale, the “-sab-“ can be combined with ‘ha-so-seo’(old polite level form), ‘hap-syo’(new polite level form) and ‘hae-yo’ (semi-polite level form). This means that the addressee is not respected by the speaker as much as the speaker is supposed to express the politeness.
The morpheme “-sab-“ is used in forms of regular combination “-sa-ob-/-sa-o-“ and “-ob-/-o-“ which are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lomorphs. Sometimes, the “-sab-“ is also used in a irregular combination form, which seems to be historically fixed. (188)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opic and Subject in Spoken Korean Discourse
 - 한국인의 영어 논문과 작문에 나타나는 관계사 사용의 변이
 - 화자 겸양 {-삽-}의 현대적 사용 양상
 - An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Use of Kulay(yo) in Korean Conversation
 - 일본의 국어정책
 - 토론토 한국 이민자들의 영어 학습동기 및 신념
 - 전남방언 남성 호칭 접미사 ‘-샌’의 용법과 방언 분화
 - 해군 장교 부인들 상호 간의 호칭어 사용 연구
 - 인터넷 금칙어와 통신 화자들의 대응 전략
 - 이름 짓기 유형의 사회적 문법
 - 한국어 줄임말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 발화기원 소거로서의 언문일치체의 의미에 관하여
 - 한국사회언어학회 회칙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