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호믈린스키의 학교교육론
이용수 189
- 영문명
- Suhomlinsky's Theory on Schoo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팽영일(Paeng, Yeong-Il)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187~2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러시아의 교육실천가로서 탁월한 업적을 남겨 사회주의 노동 영웅, 우크라이나공화국 공로교사로 표창을 받았고, 레닌 훈장과 마카렌코 훈장을 비롯한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교육과학 아카데미의 준회원으로 선정된 인물인 와실리 알렉산드로비치 수호믈린스키(Василий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ухомлинский)의 저작에 나타난 학교교육에 관한 논의를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으로 나누어 살펴 본 후 이를 통해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의 모색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호믈린스키는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교육목표의 불명확성과 학생들의 정신생활에 대한 관심의 부족 그리고 사유 수업의 부족 그리고 암기위주의 교육 등에서 찾았고 그 해결 방안으로서 기초 지식교육의 강화와 독서를 통한 정신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 휴식과 자유활동 시간의 충분한 제공, 교육평가 방법의 개선등을 주장하였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현재 우리 교육이 해결해 나가야 주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의 교육 실천을 통한 귀중한 경험은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과제 해결을 위한 좋은 교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examines the discussions on school education depicted in Suhomlinsky's works. After that, their implications upon our education are discus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uhomlinsky considered the enrichment of the learners mental life as a primary goal of education. Therefore, school education must ensure that children's learning be a part of their abundant mental life, and that it must contribute to the building of children's wisdom and their becoming a whole being as humans.
In this perspective, Suhomlinsk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at enriches the mental life through reading books. He insists that education through reading books is a valuable course in lifelong education, and suggests specific ways to put it into practice. He points out the need for the students' liberty to think freely in schools, and claimed that providing students with breaks and free times is a way to obtain invaluable treasures. His experinences in educational practices may provide implications that will help solve the problems our education faces toda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만 고등교육평가체제의 분석
- 미국 이러닝 프로그램들에 반영된 심리적 특성 탐색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 미국대학 입학사정관제도의 운영사례와 시사점
- 한국 국제이해교육의 평가와 과제
- 세계 고등교육 국제화 지표 분석 및 그 시사점
-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UK(Scotland) Quality Assurance system
- 수호믈린스키의 학교교육론
-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s of Compara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Korea and World Wid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