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행양상
이용수 109
- 영문명
- The aspect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호제(Ho-je Cho) 남궁정(Jeong Nam-G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6집 제3호, 231~2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인 재구성, 학습자 중심, 다양화 및 특성화에 기초하여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목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9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생들의 욕구와 흥미를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교육 과정 실행에 있어 학생들의 개인차와 흥미를 고려하여 수업목표, 수업내용, 수업방법, 평가 방법을 설정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w to implement the 7th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the three core concepts : "reconstruction", "student-centeredness" and "diversification/specialization". The participants(N=9) were recruited via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elementary school in Seoul Metropoli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ere teaching by considering the quantity of learning and the degree of student"s level. Also it was verified that teachers emphasized students" interests in class. Second, teachers were establishing instructional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stimating methods by considering students" demands and interests. Third, teachers were running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regional peculiarities.
First, teachers were teaching by considering the quantity of learning and the degree of student"s level. Also it was verified that teachers emphasized students" interests in class. Second, teachers were establishing instructional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stimating methods by considering students" demands and interests. Third, teachers were running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regional peculiar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낙관성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수학영재의 수학교과 선행학습 정도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 청소년의 환경변인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주의집중력 증진을 위한 음악인지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고객지향적 e-SERVQUAL 요인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Bridging Home and School : U. S. Teachers" Perspectives of Korean Parents and ESL Education
- A Study on the Plan for the School-based After-School Programs - focusing on the case of Michigan
- 열린교육의 재정립을 위한 회고와 전망
- 한국열린교육학회 윤리헌장 외
- 과제표절과 관련한 대학생의 디지털 정보원 활용 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 교사 직무수행 실태 분석
- 한국교육에서 공적 가치와 사적 자유 - 〈가면〉의 비유를 통한 역사적 고찰
- 관악구 지역활동가들의 학교와의 연계 경험 분석
-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행양상
- 교사판단 기반 학습장애 위험군의 핵심요인 탐색과 모형평가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