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좋은 수업’에 대한 한ㆍ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이용수 1,383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Good Instruction" in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수(Sang Soo Lee) 이유나(Yuna Lee) 리리(Li Li)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27~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29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좋은 수업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비교를 통해 사회ㆍ문화적 차이에 따른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은 한국과 중국 각각 3개 도시의 고등학교 교사 226명과 학생 9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인식 비교 결과, 두 국가 간 공통점으로는 좋은 수업의 전략으로 흥미를 유발하는 수업, 좋은 수업의 관리는 학습자와 교사간의 균형 잡힌 상호작용을 하는 수업, 좋은 수업의 환경은 존중하고 신뢰로운 분위기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좋은 수업의 목적으로 한국은 기본적 개념 및 원리 습득에 중국은 현장적용능력과 고차원적 사고 학습을, 좋은 수업에서 추구해야 할 가치로는 한국은 수업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중국은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지식구성 능력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좋은 수업의 내용으로는 한국은 이해하기 쉽게 구성된 내용을, 중국은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좋은 수업의 방해요인으로 한국은 학교 행정가의 잘못된 정책을, 중국에서는 교사의 능력부족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두 국가의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와 유사한 환경의 국가들과 비교를 통해 우리사회가 갖는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이 올바른지 성찰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tried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according to socio-cultural differences through surveying perception of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For survey, the study developed a survey tool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sub-categories of good instruction were instructional goals, values, contents, strategies, management, environment and elements of obstruction. The subjects were 226 teachers and 986 students of high school . They are selected randomly from three cities of each country.
The results indicated commonalities in strategies, management, and environment of good instruction but indicated differences in goals, values, contents, elements of obstruction.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categories that showed commonalities. Mayb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mmon meaning of good instruction because it reflect nation"s cultural and social situation. However, it will provide a good opportunity for us to reflect our society"s perception or meaning of good instruction through comparing other countries" perception or meaning of good instruction which has simila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results indicated commonalities in strategies, management, and environment of good instruction but indicated differences in goals, values, contents, elements of obstruction.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categories that showed commonalities. Mayb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mmon meaning of good instruction because it reflect nation"s cultural and social situation. However, it will provide a good opportunity for us to reflect our society"s perception or meaning of good instruction through comparing other countries" perception or meaning of good instruction which has simila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좋은 수업에 대한 국내ㆍ외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결과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좋은 수업에 대한 국내ㆍ외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결과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의 성인대학생 적응지원 사례 분석
- 포스트모더니즘의 합리성에 근거한 한국교육의 재개념화
-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 체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이명박 정부 대학 자율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
- 미국 지역사회 기반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 ‘좋은 수업’에 대한 한ㆍ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 초등학교 취학 연령 및 유예 기준에 대한 국제 비교연구
- 교사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호주의 교사자격제도 분석
- 미국의 이중언어교육법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
- 일본의 대학입시와 입학사정관제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