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목장의 도입을 통한 산림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이용수 125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method of forest efficiency us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the woodland burial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서경석(Seo Kyung-Suk) 김갑열(Kim Gab-Youl)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4권 제1호 (통권 제5호), 115~12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reform of burial culture through the new burial system which is called by the woodland burial. the effective use of the country land and the economical and practical plan including forest conservation and tending policy which are valued with it.
As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woodland burial were examined at first, and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ntage of cremation and the present using state of the burial facilities, the valuation basis by the function of the common benefits and the efficient use of economy through the data of statistics and the precedent researches.
And this study showed the promoting facts to introduce and stabilize the woodland burial through the analysis about effect of the present burial culture.
management method, it can be ended in a short time and be gone off the idea which defend to change the forest mountain into the burial ground.
Therefore the system of the woodland burial should be needed the cautious approach.
Finally the movement and campaign should be begun to spread outcontinuously in future. with considering that 47.2% of Korean want to use the woodland burial by the recent survey which is the recognition survey about the woodland burial.
As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woodland burial were examined at first, and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ntage of cremation and the present using state of the burial facilities, the valuation basis by the function of the common benefits and the efficient use of economy through the data of statistics and the precedent researches.
And this study showed the promoting facts to introduce and stabilize the woodland burial through the analysis about effect of the present burial culture.
management method, it can be ended in a short time and be gone off the idea which defend to change the forest mountain into the burial ground.
Therefore the system of the woodland burial should be needed the cautious approach.
Finally the movement and campaign should be begun to spread outcontinuously in future. with considering that 47.2% of Korean want to use the woodland burial by the recent survey which is the recognition survey about the woodland burial.
목차
Abstract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산림에 있어 수목장의 의의와 특징
Ⅲ. 외국의 수목장을 이용한 산림의 활용 사례
Ⅳ. 산림의 효율적 이용한 위한 수목장의 도입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산림에 있어 수목장의 의의와 특징
Ⅲ. 외국의 수목장을 이용한 산림의 활용 사례
Ⅳ. 산림의 효율적 이용한 위한 수목장의 도입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단법인 한국주거환경학회 정관 외
- 재건축 규제, 무엇이 문제인가? - 규제의 논리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 공시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특성에 관한 연구 - 전주시 덕진구를 중심으로
- MBS(주택저당증권)시장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고령화 시대 실버타운의 발전방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우리나라 비성장형도시의 선정기준 및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요인 및 판별분석들 이용하여
- 단독주택 과세의 수직 공평성 실증 분석
- 카오스이론과 프랙탈 기하학적 집합주거 건축구성에서 나타난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일본의 집합주거단지계획을 중심으로
- 수목장의 도입을 통한 산림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 상생의 재건축 - 시장주의 대 규제주의의 대립을 넘어
- 소형주택건설 의무제 부활이 재건축사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 관리처분에 따른 민원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