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특성 및 전공계열에 따른 고등교육 투자 수익률 분석 연구
이용수 793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Returns to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llege characteristics and major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이희숙(Lee Heesook)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7권 제1호, 33~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을 대학특성, 전공계열별로 구분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고등교육 투자 수익률을 분석함으로써 고등교육과 노동시장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수준에서 정확한 경제적 효과 구조에 대한 정보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의 1차년도(1998년)~8차년도(2005년) 자료를 토대로 Mincer의 소득함수모형(Human Capital Earning Function)을 활용하여 대학특성, 전공계열, 대학특성과 전공계열의 조합에 따른 수익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방사립대학이나 순위 30위권 밖 대학의 교육, 의약, 공학계열의 수익률이 서울소재대학, 지방국립대학이나 순위 1~30위 대학의 인문, 사회, 예체능계열 수익률보다 더 높았다. 이 연구는 학교급, 대학특성, 전공계열 등 각각에 대한 분석 수준을 넘어서 조합에 따른 분석을 최초로 시도함으로써 대학의 특성 효과를 추월하는 전공 효과를 실증적으로 입증함으로써 단순한 수익률 수치 산출을 넘어서는 우리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효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raw economic effect structure of higher education and labor market at the more concrete level through combining college characteristics and college major and analyzing return to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998-2005, the Mincer"s "Human Capital Earning Function (HCEF)"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turns to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college characteristics, college major and combination of them.
The major finding is that the returns to Education, Medical, and Engineering in local-private colleges, and off-ranking 30 colleges are higher than those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 & Physical in Seoul located colleges, local-public colleges, or top 1~30 colleges.
By analyzing the returns through combining college major and college characteristics as well as analyzing each return, this study provides more sufficient and concrete information on return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returns by combining some factors proved economic effects of some majors" effects exceeding college quality effects. As a result, the findings are more concrete and meaningful facts about th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of higher education.
The major finding is that the returns to Education, Medical, and Engineering in local-private colleges, and off-ranking 30 colleges are higher than those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 & Physical in Seoul located colleges, local-public colleges, or top 1~30 colleges.
By analyzing the returns through combining college major and college characteristics as well as analyzing each return, this study provides more sufficient and concrete information on return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returns by combining some factors proved economic effects of some majors" effects exceeding college quality effects. As a result, the findings are more concrete and meaningful facts about th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of higher educa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학법인 설립ㆍ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초등교사 보수 결정에 교원노조가 미치는 영향 분석
- 개발사업에 따른 학교설립비용 부담 방안 -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측면에서
- 교육비 분석에 근거한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적정 등록금 산출
- 대학생 학자금지원정책에 대한 진단과 재설계
- 교육위원의 의정비 지급에 관한 인식 분석
- 부모의 학력이 자녀의 학력 및 직업지위에 미치는 효과 - 국제비교 분석
- 교육재원의 구조결정 모델 수립을 위한 계량경제학적 접근
- 대학특성 및 전공계열에 따른 고등교육 투자 수익률 분석 연구
- 여성고등교육이 청년층 여성의 기대수익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가 교육재원 배분과정의 효율화 방안
- 대학생의 사교육 수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칙 외
- 교육의 비금전적 수익 추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