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ubal and Make-up Techniques of the Middle Age in Japan -focusing on "Muromachi" and "Azuchimomoyama"-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고경숙(Ko Gyung-Sook) 윤복연(Yoon Bok-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8권 제1호, 3~1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ubal(thair style) is basically different by race and culture to a larger degree. While during the ancient Gamakura Age, men did not take off ebosi even while sleeping, in the middle age ebosi disappeared from the every day lives and women wore long-braided gachae combined with short hair, knotted with wongyul for decoration.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creating various subal styles, there were a variety of hair styles using different terms including jeonbal hair on the frontal region, yangbin hair on both temporal regions, gok hair tied on the parietal region, and po hair on the occipital region, other than the term of head. There were also many different subal styles using parting and cut of jeonbal, in the methods of cutting junbal and letting it down on both sides, hanging each portion of divided junbal down, making tied junbal stand on the frontal region like dasun, pushing down tied junbal in the middle of gok, letting the end of tied hair thrust out or making ryun over the forehead.
Unlike today"s make-up technique using various colors, mainly eyebrow make-up was used to represent social status and class or power in the middle age. Masculine make-up during the Gamakura Age, feminine make-up characterized by thinner eyebrows, and chiheuk(black teeth) make-up were employed to express beauty.
How subal styles and make-up techniques have changed to create the harmony of beauty over the primitive age and the Tomb Period can been seen as the evolution of beauty culture which shows the period and the society.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is to understand the beauty of the age.
Unlike today"s make-up technique using various colors, mainly eyebrow make-up was used to represent social status and class or power in the middle age. Masculine make-up during the Gamakura Age, feminine make-up characterized by thinner eyebrows, and chiheuk(black teeth) make-up were employed to express beauty.
How subal styles and make-up techniques have changed to create the harmony of beauty over the primitive age and the Tomb Period can been seen as the evolution of beauty culture which shows the period and the society.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is to understand the beauty of the ag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회소식 외
- 여드름 화장행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 여드름 정도 및 관리 실태에 미치는 영향
- 클림트의 회화 장식을 응용한 바디아트 연구
- 일본 중세 修髮樣式 및 化粧에 관한 연구 - 室町, 安士桃山 중심으로
-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진로 방향 모색에 대한 연구
- 여성들의 미용 관련 프로그램 참가 수준과 참가 형태 및 자아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프렌치 스캅춰의 조형에 관한 연구
-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마사지의 효과 - 대퇴부를 중심으로
- 네일샵 유형이 네일서비스 매뉴얼에 대한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발반사 요법의 현대인 피로도에 미치는 효과와 대체요법으로서의 필요도 조사
- 부산시내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 건강검진자들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