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air Coloration of Personal Color - Focused on F. Birren"s Color Harmony Theory and the Application of Ostwalt and NCS System of Color Specifi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임미라(Lim Mi-ra)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6권 제3호, 17~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oloration of white-gray-black has the continuity of brightness, showing a stable natural coloration. It has the effect of area contrast. With the coloration of tint-tone-black, it is possible to present a hair color design which is gorgeous, rich and of a sense of volume. White-tone-shade expresses a natural camaieu coloration, while the coloration of tint-tone-shade is fit for emphasizing elegant and modern images. Color-shade-black is a coloration by which a sense of depth and richness of hair color are outstanding. The coloration of white-tint-color is good for the coloration for both gradation and tone in tone which are not disharmonious. The coloration of color-white-black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face look smaller and gives a sense of volume with its deep tone. Tint, shade, tone and gray are also very harmonious hair coloration, showing the hair image in which moderation and elegance are emphasized. Regarding such a world of hair, which great masters such as Richard Thompson, Vidal Sassoon, Khamit Kinks and Martin Gannon attempted to express, when NCS and Ostwald system of color specification is accepted and Birren"s Color Harmony Theory and coloration are applied, the harmonious beauty of hair color design looks much more beautiful. New visual expressions for color presentation which are fit for a personal image concept are shown as a huge stream which imprints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a hair designer in the 21st century. Keyword: Personal color, Hair pigment, F.Birren, Ostwald, NCS, color matchi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용사의 건강 장애 요인 분석
- 퍼스널 컬러의 헤어배색에 관한 연구 - Birren의 조화론과 Ostbalt, NCS 표색계 적용을 중심으로
- 1950년대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영화 〈백만장자와 결혼하는 법〉ㆍ〈이창〉ㆍ〈파 프롬 헤븐〉을 중심으로
- 미용 산업과 스타 매니지먼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 여성의 색조화장에 반영된 미의식 연구
- 한류(Han-Ryu) 현상이 중국대학생 모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中國 唐代 女性의 化粧文化에 關한 硏究
- 동양 미용 문화의 연구
- 20대 여성들의 미용행태에 관한 연구 - Make-up 중심으로
- 자기감시와 브랜드 인지도, 판촉유형에 따른 모발 화장품의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학회소식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