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ansion of Lifelong Learning Theory - Suggestions from Brain Sciences -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강대중(Kang Dae Joong)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4권 제1호, 57~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생학습에 대한 정교한 개념과 이론의 구축은 학교를 중심으로 한 기존 교육학의 대안 담론으로서 평생교육학의 위상 정립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최근 두뇌 과학의 발전은 평생학습에 대한 이론 구성에 중대한 도전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두뇌 과학 연구로부터 평생학습의 이론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경험과 학습과정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두뇌 과학의 성과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두뇌과학이 학습자, 학습경험, 학습과정, 학습의 상황 맥락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며, 학습경험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를 어떻게 창조하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평생학습 경험조직론’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평생학습 경험조직론’은 두뇌지도와 같이 평생학습의 지도를 고유한 개념 창조를 통해 만들어야 하며 이는 학습경험의 상황 맥락을 탐구하는 ‘평생학습 문화론’과 동시에 추구 되어야 함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Lifelong education research requires elaborated concepts and theory on lifelong learning in order to position itself as an alternative discourse to the given school-oriented educational research. Recent development of brain sciences challenges lifelong learning theory-building. This study aims to find implications of neurobiological insights into the lifelong learning research. The author reviews various brain researches in terms of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the author argues that brain sciences open a new perspective on the learner,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context. Also the author argues that a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lifelong learning experiences is required in order to explore how learners are creating themselves through constructing their own learning experiences. This research topic needs to map lifelong learning with new concepts. It also requires a study on the lifelong learning culture in which learning experiences are embedded.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두뇌 과학과 학습경험
Ⅲ. 두뇌 과학과 학습과정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며
Ⅱ. 두뇌 과학과 학습경험
Ⅲ. 두뇌 과학과 학습과정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상생 방안 탐구
-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