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검사의 운영모드와 실명기입 여부에 따른 사회적 바람직성 변인 탐색
이용수 338
- 영문명
- A Search on Social Desirability According to Administered Mode and Demonstrable Condition of a Psychology Test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어윤경(Au Yun Ky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0권 제4호, 235~2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담 장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비인지 영역 심리검사가 웹기반 검사로 급속하게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검사 운영모드와 실명기입 여부에 따라 사회적 바람직성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검사 실시조건을 검토하여 웹기반 심리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검사 운영모드, 실명기입 여부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사회적 바람직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비인지 영역검사에서 검사 실시조건에 따른 검사결과의 동등성에 대한 회의가 부분적으로나마 해소되는데 도움을 주었다. 더구나 웹기반검사 운영모드 사용시 실명조건을 통해 검사의 타당도를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피검사자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비인지 영역 웹기반 심리검사를 활용하는데 함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rough the study, I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operation of social desirability according to test administered mode in the situation which psychology testings to be used for counseling are rapidly replaced with web-based testings. I assumed that the web-based psychology testings are more straight and less exaggerating, comparing with the typical paper-administered testing mode, therefore, it will show a lower level of social desirability. And I suggested that the strategies which make the interviewees recognize the demonstrability for their responses by giving them feedback for the test results will show a lower level of social desirability than other strategies that keep us from recognizing the demonstrability. In addition, I assumed that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concurrent validity of social desirability according to the testing mode and demonstrable stratage.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sting mode and demonstrable stratage, and interaction. Thus, it partly contributed to get rid of skepticism about equality of the test results in affective psychology testing. In particular, it"s possible to make concurrent validity larger by the web-based method and demonstrable condi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개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종합논의 및 제언
후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Ⅱ. 선행연구 개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종합논의 및 제언
후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평가연구 게재 원고 모집 안내 외
- ZPD 수준 판별 도구의 구안 및 타당화
- 교육 서비스 품질요인 및 고객참여행동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재검 여부와 재검 횟수에 따른 검사 동등화 차이 연구
- 영어와 수학성적 변화의 성차 비교 연구 - 대도시 일 중학교의 총괄평가 결과에 대한 성장모형 분석
- The Impact of a Multidimensional Item on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 고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Messick의 타당도 관점에서 Rasch 측정모형 적용을 통한 대학 강의평가 도구개발의 타당화
- 모의실험을 통한 다층성장모형의 고정효과 모수 추정량 양호도 비교 - 2-Level HLM과 3-Level HLM 비교
- 심리검사의 운영모드와 실명기입 여부에 따른 사회적 바람직성 변인 탐색
-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탐색적 프로파일 분석 - 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변인을 중심으로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표본설계 개선 연구
- Automated Test Assembly for Unidimensional IRT Tests with Cognitive Diagnostic Elements - Maximum Information Method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