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장애 등장인물의 이미지 비교
이용수 297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Folk Tales and Korean Created Story Books on the Image of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유수옥(Soo Ok Yoo)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2권 제3호, 99~1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3,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장애 등장인물의 이미지를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장애 등장인물의 이미지의 시대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창작동화에서 전래동화에 비해 정신적, 신체적 장애 등장인물이 좀 더 확대된 장소에서 확대된 대상과 다양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하고, 자신의 일도 스스로 성취하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특히 창작동화에서 전래동화와 달리 친구와의 상호작용도 높았다.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서 정신적 장애는 신체적 장애에 비해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특히 창작동화에서 신체적 장애는 장애가 없는 등장인물과 크게 차이가 없는 등장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21세기의 공학의 발달,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 그리고 특수교육의 발달이 신체 장애인의 독립성을 지원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라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folk tales and Korean created story books on the image of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using contents analysis.
In the created storybooks, characters with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displayed interaction with more expanded and various characters and settings,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higher achievement to their own tasks than in Korean fairly tales. In particular, their interaction with friends exhibits very well in the created storybooks compared to in Korean fairly tales. Characters with mental displayed more negative manner than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n created story books as well as in Korean fairly tales. But the charact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splayed to have little difference from other characters without disabilities in Korean created story books, while not in Korean fairly tal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mages of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changed into those with independence of those charact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n story books, which may be attributed to establishment of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ilities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pecial education.
In the created storybooks, characters with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displayed interaction with more expanded and various characters and settings,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higher achievement to their own tasks than in Korean fairly tales. In particular, their interaction with friends exhibits very well in the created storybooks compared to in Korean fairly tales. Characters with mental displayed more negative manner than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n created story books as well as in Korean fairly tales. But the charact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splayed to have little difference from other characters without disabilities in Korean created story books, while not in Korean fairly tal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mages of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changed into those with independence of those charact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n story books, which may be attributed to establishment of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ilities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pecial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부자유학교 중도ㆍ중복장애 아동 담당교사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감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인 고용 준거 개발
-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수용 S/W의 멀티미디어 구성요소 제시양식 분석
- 특수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정서ㆍ행동문제 특성과 관련변인
- 검사조정으로서의 문항대독이 시각장애 중학생의 교과성취에 미치는 영향
- 교수적 지원을 통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PBL 적용이 장애 아동의 언어적 문제해결력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장애 등장인물의 이미지 비교
- 중증 자폐 아동의 음성 및 비음성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관련 변인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인기 장애학생의 인기요인 분석
-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정신지체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의 절차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 북한의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