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al Mine Poems and Kangwon-Youngdong Regional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남기택(Nam Gitae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3輯, 305~3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pproaches Anthology of Coal Mine Poems within the framework of regional literature. Typical poems of such kind are characterized by predominant notion rather than dominant form. An unconventional form, symbolical poetic words, and structural elaborateness are found only in the works of some poets. ‘Coal mine poems’ are not reserved exclusively for those who experienced coal mining. Nevertheless, genuine agents of coal mine poems should be coal mine workers and residents.
This is the very reason why such poems should be ascribed to ‘regional literature’. It is deemed appropriate for such poems to focus on creating poetic images rather than depicting reality in an abstract way. Poetry communicates abstract sense through something specific, namely, images, rather than through abstraction. More serious and continuous research must be sought through Anthology of Coal Mine Poems.
This is the very reason why such poems should be ascribed to ‘regional literature’. It is deemed appropriate for such poems to focus on creating poetic images rather than depicting reality in an abstract way. Poetry communicates abstract sense through something specific, namely, images, rather than through abstraction. More serious and continuous research must be sought through Anthology of Coal Mine Poems.
목차
1. ‘탄광시’라는 문제설정
2. 강원영동지역문학론의 현황과 과제
3. 강원영동지역 탄광시의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2. 강원영동지역문학론의 현황과 과제
3. 강원영동지역 탄광시의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중세국어 의문보조사의 문법 범주
- 古典小說의 流通과 口演 事例 考察 - 영동군 학산면 민옥순을 중심으로
- 〈홍계월전〉의 여성의식 고찰
- 〈이춘풍전〉에 나타난 부부 갈등의 해결 방식과 문학치료적 효용
- 해방기 이용악의 시세계
- ‘자네’의 용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 전북 정읍군 태인면 민담 어휘에 대한 고찰 - 한국 전통문화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 탄광시와 강원영동지역문학 - 『한국탄광시전집』을 중심으로
-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 중세국어 담화표지 ‘이’에 대하여
- 우리의 고전적 글쓰기에 대하여
-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과 ‘번뇌즉보리’
- 전래지명어에 나타난 지명접미사 ‘-이’에 대하여
- 忠南 錦山地域 女性口述者의 이야기 現況과 世界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