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자》의 현대 교육적 해석
이용수 692
- 영문명
- Modern educational analysis of《zhuangzi》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덕삼(Kim Dug-sam)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61~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을 기초로 세계화ㆍ정보화ㆍ민주화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현대사회에서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다양성을 인정하고, 창조적 마인드를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맞춰 본 연구는 그동안 교육적인 측면에서 거의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소극적으로 해석된《장자》의 교육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장자》의 교육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 불견시비(不譴是非), 무용지용(無用之用), 포정해우(?丁解牛), 내성외왕(內聖外王)을 제시했다.《장자》사상에 비추어 보면, 불견시비에서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삶의 태도를 배울 수 있다. 무용지용에서는 창조적 인간상을 키울 수 있기에 이를 창조교육으로, 포정해우를 통해서는 기초교육의 내실을, 이상적 인간상인 내성외왕 사상을 통해서는 전인교육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것은 독립적으로 고유한 의미와 역할을 하지만, 상호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 의미와 기능은《장자》의 현대 교육 사상의 기초를 구성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맞춰 본 연구는 그동안 교육적인 측면에서 거의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소극적으로 해석된《장자》의 교육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장자》의 교육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 불견시비(不譴是非), 무용지용(無用之用), 포정해우(?丁解牛), 내성외왕(內聖外王)을 제시했다.《장자》사상에 비추어 보면, 불견시비에서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삶의 태도를 배울 수 있다. 무용지용에서는 창조적 인간상을 키울 수 있기에 이를 창조교육으로, 포정해우를 통해서는 기초교육의 내실을, 이상적 인간상인 내성외왕 사상을 통해서는 전인교육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것은 독립적으로 고유한 의미와 역할을 하지만, 상호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 의미와 기능은《장자》의 현대 교육 사상의 기초를 구성한다.
영문 초록
Today, modern society offers a wealth of information to people, thanks to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unded on the principles of glob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information development. Still, the nature of modern society necessitates an education that can help individuals build a sense of self, exploit their creativity, and respect diversity while solidifying the grounds for healthy growth.
This study explores the world of 《Zhuangzi(莊子》’s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has rarely been interpreted -- if ever it has been interpreted at all, even in a passive manner -- from the educational rather tha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Specifically, four principles summarizing《Zhuangzi》’s educational philosophy?bujianshife(不譴是非), wuyongzhiyong(無用之用), paodingjieniu(?丁解牛), and neishengwaiwang (內聖外王)?have been examined. According to Zhuangzi, bujianshifei teaches an approach to life wherein diversity is accepted and respected. Woyongzhiyong fosters creative minds, whereas Paodingjieniu advocates the reinforcement of primary education. Finally, Neishengwaiwang presents the model of an ideal, virtuous, human. Each of these four principles offers to today’s education system unique guidance toward the path to improvement; note, however, that the unique directions offered by individual principles have been consolidated to form the basis for 《Zhuangzi》’s 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This study explores the world of 《Zhuangzi(莊子》’s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has rarely been interpreted -- if ever it has been interpreted at all, even in a passive manner -- from the educational rather tha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Specifically, four principles summarizing《Zhuangzi》’s educational philosophy?bujianshife(不譴是非), wuyongzhiyong(無用之用), paodingjieniu(?丁解牛), and neishengwaiwang (內聖外王)?have been examined. According to Zhuangzi, bujianshifei teaches an approach to life wherein diversity is accepted and respected. Woyongzhiyong fosters creative minds, whereas Paodingjieniu advocates the reinforcement of primary education. Finally, Neishengwaiwang presents the model of an ideal, virtuous, human. Each of these four principles offers to today’s education system unique guidance toward the path to improvement; note, however, that the unique directions offered by individual principles have been consolidated to form the basis for 《Zhuangzi》’s 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현대사회의 특징과《장자》해석
Ⅲ.《장자》교육관의 현대적 해석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Ⅱ. 현대사회의 특징과《장자》해석
Ⅲ.《장자》교육관의 현대적 해석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대학원 교육개혁 동향과 특징
- 《장자》의 현대 교육적 해석
- 미국과 영국의 교장 양성 및 자격 프로그램 분석
- 재외한인 학생들의 사이버 민족교육에 대한 수요
- 국제교육표준분류(ISCED-97)에 따른 현행 고등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미국의 성공적인 학교교육혁신사례 비교연구
- 중국 초등학교 교육계획서에 나타난 특성 분석 - 산동성 영성시를 중심으로
- 미국 대학입학제도의 전형자료, 입학사정관제도 및 기여입학제도 분석 - 개별적 검토를 중심으로
- 현장 중심 교사교육 연구 -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와 캐나다 퀸즈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 순위평가의 국가간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