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명 조작에 대한 연기적 관점
이용수 167
- 영문명
- Current Development in Life Manipulation by Modern Bioscience and Its Reevaluation with Mutual Dependency Doctrine of Buddhism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우희종(Woo Hee-Jong)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15호, 55~9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dern science is based on the analytical reductionism resulted with a fragmented view on our world, compared to that of Buddha who showed us the mutually dependent holistic nature. As the advance of life science and biomedical areas in these days presents social and ethical questions in public, a more realistic understanding of the basic and clinical application that are likely to arise by scientific discoveries in our society is very necessary. In this paper the major three subjects, stem cell research, xenotransplatation, a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in recent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re described in detail in context of biohazard and bioethics. Though those three specified areas are well-funded for research with good rationale by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some fatal problems are emerging from the view of Buddha"s teaching, especially holistic mutual dependency. Furthermore, the scientific terrorism that is done by pre-evaluated scientific discoveries is discussed with a misguided perception that science is value free.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영문초록
Ⅱ. 본론
Ⅲ. 결론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승불교에 있어 출생과 죽음의 과정에 대한 記述
- 究竟次第의 中有成就에 나타난 밀교사의 단면 - 『死者의 書』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테라바다(Theravāda)의 붓다관―Pubbakammapiloti를 중심으로 (I)
- 와이쉐시까(Vaiśeṣika) 학파와의 논쟁을 통해 본 경량부 세친(Vasubandhu)의 정신(manas)
- Postmodernity and the Buddhist Studies of Ecology - Joanna Macy"s Ecological Self and Buddhist Self-Denial
- 불교학연구회 활동일지(2006년 9월~12월) 외
- 근대 禪學院 활동의 史的 意義
- 『解深密經』의 보살사상
- 중국불교의 현세간주의 특색 - 천태의 공ㆍ가ㆍ중의 관점을 중심으로
-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 比丘尼 八敬法에 대한 考察
- 무위사 극락보전 벽화의 원형과 변모
- 생명 조작에 대한 연기적 관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고교학점제 하 다문화 교육 운영 방향 고찰
- 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병렬이중 매개효과
- 금강경 기도에 참여한 여성 참여자의 초월적 시간관, 삶의 의미, 심리적 안녕감 분석 연구 -연령과 종교생활 기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