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rection of English Pronunciation Teaching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경석(Ko Kyoung-seok)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6권 1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econd language or foreign language speakers of English today outnumbers those for whom it is the mother tongue. It needs to adjust the methodologies in line with this changing pattern, in which the goal of learning is more often be able to use English as a lingua franca in communication with other ‘non-native speakers’, i.e.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than as a foreign language in communication with its ‘native speakers’. In pronunciation, probably more than in any other area of EL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ompletely new paradigm. In relation to the solution for pronunciation teaching in the 21st Century, radical change is required in four areas: firstly, pronunciation in teacher education; secondly, in the testing of pronunciation; thirdly, in the status of ‘NNS’ pronunciation teachers; and fourthly, in the need for EIL pronunciation learning for ‘NSs’. As far as spoken English is concerned, pronunciation is the common denominator. If EIL is the future of English, it will be so by virtue of its ability to reconcile the opposing forces of intelligibility and identity.
목차
Ⅰ. 서론
Ⅱ. EIL 영어 화자간의 이해도(intelligibility)
Ⅲ. EIL에서의 영어 음운 핵심 요소
Ⅳ. 국제어로서의 영어발음 교육
Ⅴ. 영어에 대한 인식과 발음학습의 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Ⅱ. EIL 영어 화자간의 이해도(intelligibility)
Ⅲ. EIL에서의 영어 음운 핵심 요소
Ⅳ. 국제어로서의 영어발음 교육
Ⅴ. 영어에 대한 인식과 발음학습의 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디오 피드백의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 말하기 학습효과
-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개념 이해
- 초등학교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과업중심 언어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 인터넷 교육방송을 활용한 도 · 농간 초등학생 영어 듣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의 수준차 접근방안
- 제2언어 상호작용과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고찰 - 피드백 지각의 문제를 중심으로
- 영어 발음 교수의 방향
- Christopher Marlowe"s Edward II - History, Self-knowledge, and Contingencies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회칙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