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재개발에서의 연계성 기준
이용수 353
- 영문명
- On the criterion of connectedness in the Englis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석(Kim Jin-Seok)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19권 2호, 215~2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the criterion of connectedness, to analyse the connectedn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present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English textbook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achievement target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reviewed, and the connectedness among the achievement targets is analys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connectedness, the criteria of connectedness on the topics, achievement targets, communicative functions, language form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presented. Particularly, the connectednes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s considered. That is, in the primary school, teachers enable students to improve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through cards, chants, multi media, games, and so on. In order to continue the interest and the motivation of the primary school, the connectedness between prim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needs to be checked in developing textbooks. Thus, in this pape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extbooks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connectedness i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계성의 정의
Ⅲ. 목표 및 내용 체계에서의 연계성
Ⅳ. 목표 및 내용 체계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재개발의 방향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Ⅱ. 연계성의 정의
Ⅲ. 목표 및 내용 체계에서의 연계성
Ⅳ. 목표 및 내용 체계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재개발의 방향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ttention and Real Performances in Focus-on-form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영어교육 분야 연구문헌의 분류법 및 주제어 사용에 관한 연구
- An Interface Between SLA and Language Testing - The Effects of Processability on Proficiency
- Research Focus on CALL Classroom Environments
- 다중 지능 이론을 적용한 초등 영어교재 모형 개발 연구
- An Exploration of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Model for Cross-cultural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이러닝 구성요소에 근거한 영어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 연구 - 불안감을 중심으로
- 텍스트도식화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영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재개발에서의 연계성 기준
- Exploring EFL Learners’ Responses through Literature within a Transactional Framework
- 영어 회화 교과서에 대한 학습자ㆍ교사 반응과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연계성
- English in Context: A Qualitative Inquiry of an English Program for International Teaching Assista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