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 6차 유치원 교육활동자료에 수록된 동화의 유머요소 분석

이용수  93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Humor elements in the Fairy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박성희(Park Sung Hee) 이혜경(Lee Hye K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0권 제4호,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 6차 유치원 교육활동 자료에 수록된 동화의 유머요소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 89개 동화의 유머요소 포함 정도를 분석한 결과 동화가 지닌 유머 요소는 2개, 3개, 4개의 순서로 나타났고 각각 31.46%, 22.47%, 11.24%를 차지하였다. 총 11개의 유머 요소 중 4개 이하를 포함하는 동화가 전체의 65.17%로 나타났다.
  유머의 요소에 따른 분석 결과 언어적 요인, 인지적 요인, 신체적요인의 순이며 각각 47.49%, 42.47%, 10.05%로 출현 빈도를 보였다. 또 그 하위 요인으로는 의성어, 의태어(31.96%)와 의인화(21.92%)가 전체의 53.88%를 차지하였다. 반면 변형된 언어(0.46%), 확산적 사고(1.37%)의 출현 빈도는 5회 미만으로 전체의 1.83%에 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humor elements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to analyze 89 whole fairy tale revealed that humor elements in fairy tale was 2(31.46%), 3(22,47%), 4(11,24%) sequences.
  According to the humor elements, the frequency appeared in the sequence of the linguistic, cognitive, physical elements. An onomatopoeia and mimesis personification occupied the half of the total as the lowrank factor. But the frequency of transformed language and divergent thinking were very low.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희(Park Sung Hee),이혜경(Lee Hye Kyoung). (2006).제 6차 유치원 교육활동자료에 수록된 동화의 유머요소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0 (4), 5-24

MLA

박성희(Park Sung Hee),이혜경(Lee Hye Kyoung). "제 6차 유치원 교육활동자료에 수록된 동화의 유머요소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0.4(2006):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