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서울지역 상류주택 안채ㆍ사랑채의 창호특성 - 남산골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이용수 413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Windows and Doors of the High-class Residences in Seoul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Cases of the Traditional Residences in the Namsan Folk Village -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경옥(Kyoung Ok Pakr) 손명희(Myong Hee Son) 김수연(Soo Yeon Kim) 송혜경(Hye Koung So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10권 2호, 91~1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windows and doors of the high-class residences in Seoul of the Joseon Dynasty, analysing windows and doors of the five houses the Namsan folk village. Following what we concluded with the analysis on every window and door of rooms.
1. The doors to the wooden floor "daecheong", of the room "anbang", "geononbang" and "sarangbang", are almost translucent papered four-fold-doors sliding and openable above, and the others are four-fold-doors with thin lattices. The doors are openable by sliding or pushing, and they are sometimes placed by double layers. The doors to the open air of the room are double layered, of inner sliding two-fold doors with Chinese letter shape and outer thick papered pushing doors with lattices. 2. The front of the wooden floor "daecheong" is either open without doors, or with doors as four-fold doors. And there are two-fold latticed pushing doors or two-fold thick wood doors.
1. The doors to the wooden floor "daecheong", of the room "anbang", "geononbang" and "sarangbang", are almost translucent papered four-fold-doors sliding and openable above, and the others are four-fold-doors with thin lattices. The doors are openable by sliding or pushing, and they are sometimes placed by double layers. The doors to the open air of the room are double layered, of inner sliding two-fold doors with Chinese letter shape and outer thick papered pushing doors with lattices. 2. The front of the wooden floor "daecheong" is either open without doors, or with doors as four-fold doors. And there are two-fold latticed pushing doors or two-fold thick wood doo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외식 쿠폰 이용
- 충북지역 초등학생들의 식행동 및 간식섭취 실태
- 한국의 서비스 지향 복지국가 전환과 공급주체 기능분화에 대한 일 고찰
- 청주지역 대학생의 패션 명품에 대한 의식 및 구매 태도
- 청주지역 주부들의 웰빙에 대한 인식 및 웰빙지향 식행동 실태
- 대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감, 자아정체감 및 성가치관과 성행동
- 중ㆍ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조직의 정보시스템 관리 특성이 의사결정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모에 의한 폭력 경험, 데이트 관계만족도, 자아존중감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외식시 웰빙 음식에 대한 태도 및 인식도 조사
- 멀티테라피의 원리와 색채치료의 활용
-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공간 및 프로그램 고찰
- 조선시대 서울지역 상류주택 안채ㆍ사랑채의 창호특성 - 남산골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임대아파트의 유지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 청주시 임대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 청주지역 대학생의 의복선호색과 색채 이미지 연구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총 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