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漢江 주변의 陸上昆蟲 및 土壞動物의 分布
이용수 26
- 영문명
- The Distribution of Land Insects and Soil Animals in Han River Area
- 발행기관
- 상지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 저자명
- 최준길(Jun-Kil Choi) 홍기철(Ki-Cheol Hong) 송병용(Buoung-Yong Song)
- 간행물 정보
- 『환경과학연구』제2권 제1호, 77~8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12.0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漢江 水系圈의 陸上昆蟲 및 土壞 동물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팔당호 부터 신곡잠언 수중보 까지 7개 地域으로 나누어 1993년 6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총 8회에 걸쳐 11일간 調査하였다. 定性的인 조사를 爲하여 sweeping法을, 定量的인 調査를 爲하여 털이法, Trap 設置法, 土壞採取法 등의 方法을 사용하였다. 그 調査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Sweeping 方法에 의하여 調査된 昆蟲은 總 8目 31科 57屬 65種이었으며 이들 중 대만흰나비, 네발나비, 십자무늬긴노린재 등의 個體數가 比較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비目과 노린재目, 딱정벌레目 등은 가을철에 그 數가 顯著히 減少하였다. 각 調査 地域別로 큰 差異는 없었으나 밤섬이 種數나 個體數에서 比較的 多樣하였다. 2) 탄천변의 가로수 (은사시나무)는 매마類의 集團棲息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 털이法에 의하여 調査된 昆蟲은 總 5目 8科 13屬 14種이었으며 이들 중 긴더듬이바구미의 個體數가 가장 많았으며 밤섬에서만 확인되었다. 역시 딱정벌레目의 개체수가 가을철에 顯著히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내었다. 4) Trap 設置法에 의한 調査에서는 總 6目 12科 19屬 21種을 동정하였는데 벌목 (개미류)의 個體數가 가장 많았으며 各 地域間의 동물상에서 약간의 差異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을에 딱정벌레目의 個體數는 오히려 增加하였는데 이것은 氣溫의 下降에 따라 숲이나 풀밭 등지로 딱정벌레目의 動物들이 移動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判斷된다. 5) 土壞 採取法에 의한 調査에서는 調査 地域別로 顯著한 差異를 나타내었는데 森林植生이 比較的 잘 保存된 1지역 (팔당)에서는 지렁이類를 包含하여 土壞動物의 種數도 比較的 多樣한 것으로 調査되었으며, 人間에 의한 干涉이 比較的 심한 나머지 지역의 動物相은 매우 貧弱한 것으로 調査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igures of land insects and soil animals inhabitated in Han Riv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urveys done eight times (from June, 1993 to May, 1994). Seven optional areas from Lake Paldang to irrigation in Shingok were chosen for sampling.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sweeping, beating, trapping and soil samp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tal appearances of insects by sweeping method were 8 Order, 31 Family, 57 Genera and 65 Species. The main orders were involved in LEPIDOPTERA, HEMIPTERA and COLEOPTERA. In Autumn, they decreased in number. Specific disparity among areas was not observed but there was greater diversity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Bam island than others. 2) HOMOPTERA inhabitated in trees along Tan stream. 3) The total appearances of insects by beating method were 5 Order, 8 Family, 13 Genera, 14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in Bam island was Eumyllocerus gratiosus specially distinctive in Summer. In Autumn, Order COLEOPTERA tended to be decreased in number. 4) 6 Order, 12 Family, 19 Genera, 21 Species were collected by trapping. The main orders were Order HYMENOPTERA.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regions. In Autumn, Order COLEOPTERA increased in number because fall of temperature made animals move to the forest. 5) Disparity among areas was found by soil sampling. The more diverse species of soil animal were gathered in St.1 (Paldang) where forest had well preserved. However the individuals of regional animals were poor in number by human activeties.
목차
요약
Abstract
序論
調査方法
結果 및 考察
참고문헌
Abstract
序論
調査方法
結果 및 考察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93년도 원주천의 이화학적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 Depositional Environments in the Late Quaternary Arctic Ocean
- 치악산 계류의 환경특성
- The Exchange of Reduced Sulfur Gases Across the Atmosphere-Terrestrial Biosphere Interface
- 공기주입을 통한 양돈분뇨의 악취제거 효과 기초연구
- 상지대학교 부설 환경과학연구소 규정 외
- 원주 지역의 오존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원주시 아파트 및 학교 오수정화시설의 처리현황에 관한 연구
- Sand Drain 공법 적용지반의 2차원 해석 Modelling에 관한 연구
- 漢江 주변의 陸上昆蟲 및 土壞動物의 分布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