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교육특구 - 현황 분석과 발전을 위한 실천제언 탐색
이용수 454
- 영문명
- Educational Enterprise Zone(EEZ) for the Community Empowerment: Analyzing Current Practice and Exploring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박남기(Park Nam-Gi) 황윤한(Hwang Yun-Han) 박선형(Park Sun-Hy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5권 제2호, 247~27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특화발전특구의 한 유형으로써 교육특구 운영 내용과 문제점을 지역 현장의 의견에 기초하여 실증 분석함으로써 교육특구제도의 향후 발전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교육 특구에 대한 기초 자치단체와 지역교육청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서 정부는 제도적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자치단체간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특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특구 목적에 대한 명료한 안내지침과 다양한 교육특구 모형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일선 기초 자치단체들이 교육 특구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고, 특화 사업의 규모나 형식보다는 지역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 특구를 장려하여야 한다. 넷째, 승인된 교육 특구에 대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행ㆍ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교육 특구에 대한 기초 자치단체와 지역교육청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서 정부는 제도적 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자치단체간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특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특구 목적에 대한 명료한 안내지침과 다양한 교육특구 모형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일선 기초 자치단체들이 교육 특구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고, 특화 사업의 규모나 형식보다는 지역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 특구를 장려하여야 한다. 넷째, 승인된 교육 특구에 대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행ㆍ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ducational enterprise zone (EEZ) as a model of regional enterprise zone by analyzing contents and problems in implementing EEZ. The study extracted factors pertinent to the growth of EEZ by the study of studies on EEZ, and explored the practical scheme to develop EEZ. The responsible person in charge of EEZ related duty in 158 regional governments and 168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found several conclusions. First, there should be various governmental effort to establish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government and the office of education for inducing deep concern about EEZs. Second, there should be a clear introducing guidelines on the purposes of EEZs and models of EEZs for activating the zones. Third, the public application procedures must be simplified for the regional governments so that they can easily apply for the EEZ. Also, the regional governments should be encouraged to focus on regional traits rather than size nor format of the project. Forth, the government must continually back up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approved EEZs.
The study found several conclusions. First, there should be various governmental effort to establish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government and the office of education for inducing deep concern about EEZs. Second, there should be a clear introducing guidelines on the purposes of EEZs and models of EEZs for activating the zones. Third, the public application procedures must be simplified for the regional governments so that they can easily apply for the EEZ. Also, the regional governments should be encouraged to focus on regional traits rather than size nor format of the project. Forth, the government must continually back up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approved EEZs.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특구: 이론적ㆍ정책적 당위성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특구: 이론적ㆍ정책적 당위성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운용성과와 개정방향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칙 외
- 유아ㆍ평생교육 재정투자 전략의 탐색
- 학교재정평가 도구의 개발 및 적용
-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교육특구 - 현황 분석과 발전을 위한 실천제언 탐색
- 교육비 지불보증제도 실시에 따른 학교 조직의 변화 분석 - 플로리다 A-plus 플랜을 중심으로
- 한국의 사교육비 격차 추세에 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다극화 지수와 지니 계수를 이용한 분석
- BK21사업 재정지원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의 실태 분석
- 서울시 공립 초ㆍ중학교 교육비의 공평성 분석
- 교육시설 BTL사업 제도의 전망과 과제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에 의한 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 전입금 제도의 변천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