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재정평가 도구의 개발 및 적용
이용수 189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nt Tools for School Financ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강경석(Kang Kyung-Seok) 최영숙(Choi Young-Sook)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5권 제2호, 175~1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단위학교 재정운영의 책무성을 제고하고 학교재정의 효율적 운용을 통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하기 위하여 단위학교재정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학교재정평가에 적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중심으로 기획단계, 학교재정 확보 및 운영계획, 학교예산 편성, 학교예산운영 및 집행, 학교예산 결산, 학교재정 운영 결과에 이르는 학교재정 평가 모형과 47개 항목의 학교재정평가 도구를 설정하였으며, 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전 탐색적 적합성 조사, 전문가 준거 타당성 검토, 준거의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여 44개 항목의 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5개 지역의 학교재정실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평가항목의 평균은 보통으로 나타나 학교재정운영의 개선 요소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재정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재정평가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 제도에서는 재정평가를 별도로 시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재정평가 도구 개발 및 시범적 적용이라는 측면에 그 의의가 있으며, 개발된 도구는 학교재정운영의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실제로 단위학교 재정을 평가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중심으로 기획단계, 학교재정 확보 및 운영계획, 학교예산 편성, 학교예산운영 및 집행, 학교예산 결산, 학교재정 운영 결과에 이르는 학교재정 평가 모형과 47개 항목의 학교재정평가 도구를 설정하였으며, 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전 탐색적 적합성 조사, 전문가 준거 타당성 검토, 준거의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여 44개 항목의 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5개 지역의 학교재정실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평가항목의 평균은 보통으로 나타나 학교재정운영의 개선 요소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재정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재정평가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 제도에서는 재정평가를 별도로 시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재정평가 도구 개발 및 시범적 적용이라는 측면에 그 의의가 있으며, 개발된 도구는 학교재정운영의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실제로 단위학교 재정을 평가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which can be used in evalua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inances.
Based on the study of related literatures and documents, we set up a finance assessment model which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overall planning, securing school finances and management planning, budgeting school finance, administering school budgets, settling accounts, and drawing outcomes of school finance management. We also developed 47 items of school finance assessment tools. Out of these 47 items, we finally settled 44 items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which includes various prep surveys and researches in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tools.
These tools were applied to many schools in Seoul, Incheon, Daegu, Gyeonggi, and Gyeongbuk area to assess their finances. The school finance assessment model was useful in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finance management. And the settled assessment measures were applied to schools to analyze their financial condition.
Based on the study of related literatures and documents, we set up a finance assessment model which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overall planning, securing school finances and management planning, budgeting school finance, administering school budgets, settling accounts, and drawing outcomes of school finance management. We also developed 47 items of school finance assessment tools. Out of these 47 items, we finally settled 44 items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which includes various prep surveys and researches in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tools.
These tools were applied to many schools in Seoul, Incheon, Daegu, Gyeonggi, and Gyeongbuk area to assess their finances. The school finance assessment model was useful in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finance management. And the settled assessment measures were applied to schools to analyze their financial condi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단위학교재정 평가의 모형과 준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단위학교재정 평가의 모형과 준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운용성과와 개정방향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칙 외
- 유아ㆍ평생교육 재정투자 전략의 탐색
- 학교재정평가 도구의 개발 및 적용
-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교육특구 - 현황 분석과 발전을 위한 실천제언 탐색
- 교육비 지불보증제도 실시에 따른 학교 조직의 변화 분석 - 플로리다 A-plus 플랜을 중심으로
- 한국의 사교육비 격차 추세에 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다극화 지수와 지니 계수를 이용한 분석
- BK21사업 재정지원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의 실태 분석
- 서울시 공립 초ㆍ중학교 교육비의 공평성 분석
- 교육시설 BTL사업 제도의 전망과 과제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에 의한 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 전입금 제도의 변천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