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세국어 호칭어와 종결어미의 호응에 대한 재고
이용수 269
- 영문명
- Reconsideration on Concord of Appellation Term with Final Ending in the Middle Korean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양영희(Yang Young-hee)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14권 2호, 233~2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existing views on concord of appellation term with a final ending. In general,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re is a consistent system to accord "the object not expressed with pronoun" with "hashowsheo" form, "geudui" with "hayassheo" form, and "neo" with "hara" form. There are, however, many examples from actual use which cannot be explained in this framework. Here, the concord of appellation term with final ending in middle Korean is classified into "conforming model on rule" and "strategic model of speaker". The former is sub-classified into "authoritative type" and "bonding type", the latter "appellation type" and "final ending typ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ppellation term and the final ending are related to the honorific system, such features as dialogue, personal feelings between interlocutors among others should be included in an analysis. It has been understood that some pronouns are used only with some appellation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regardless of these facts. The basic approach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alysis distinctive from prevailing explanations.
목차
Abstract
Ⅰ. 머리말
Ⅱ. 용례 검토 및 개념 규정
Ⅲ. 호칭과 종결어미의 호응 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Ⅰ. 머리말
Ⅱ. 용례 검토 및 개념 규정
Ⅲ. 호칭과 종결어미의 호응 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텔레비전 어린이 만화에 나타난 국어사용의 문제점 - 지상파 방송 3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세계화시대의 영어학습’ 열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사회적 기호화과정(social symbolization)의 탐색
- Korean Children"s Identity Construction while Living in Two Languages
- 총장 연설 화법의 텍스트담화적 전략
- 어휘사용의 성적변이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방법 시론 - 현대 소설작가 공선옥, 김소진, 신경숙, 윤대녕을 중심으로
- 천안ㆍ아산지역어와 대구지역어에 나타나는 w탈락현상의 비교연구 - 대학생 언어를 중심으로
- 조직구성원의 논쟁성, 논쟁 유연성, 언어적 공격성에 대한 연구
- 전남방언 택호의 변이와 변화
- 중세국어 호칭어와 종결어미의 호응에 대한 재고
- An Analysis of TV Homeshopping Commercial - A Case of Multi-party Talk
- Comparison of Discourse Markers Used by English Teachers in the Pr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 한국사회언어학회 정관〈수정일: 2003.11.15〉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