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한국 전래동화 영역본의 어휘 연구
이용수 380
- 영문명
- A study on vocabulary in English story books translated from Korean folk tales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호(Park Seon-Ho) 안재은(Ahn Jaeeun)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2권 2호, 39~7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nglish story books translated from Korean folk tales can be used as effective material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s of Korean folk tales through investigating the availability of the Korean folk tales in English, and analyzing the types and frequency of vocabulary employed. For this purpose research started from investigating Korean folk tales in English on the markets as well as on the web sites. Then two corpora were built by wording the texts into a corpus program: Korean folk tales in English and western folk tales.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Korean folk tales in English tended not to be easily available and not to be widely in use. With regards to the number of vocabulary types of Korean folk tales, it was nearly similar to that of western folk tales. However, the English vocabulary was quite strikingly different from the one suggest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frequency of English vocabulary in Korean folk tales was lower than the one from the English textbooks used in schools and the ratio of low-frequency words was comparatively high. It was also found that many words of Korean folk tales in English reflected the source culture, which is expected to be good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Lastly, contents, organizations, and the vocabulary were found to be somewhat different from each version though dealing with the same folk tales. With these findings some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making the most out of the Korean folk tales in English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ing.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Developing Science CBELT Materials for Korean Primary Discretionary Classes
- Korean Mothers’ Perspectives of Schooling in the United States
- 영어일기쓰기 학습을 위한 웹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 Assessment Practices in Primary English Programs
- STAD 협동 학습이 초등학생의 듣기ㆍ말하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한국 전래동화 영역본의 어휘 연구
- Eff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on EFL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Attitudes
- Applying Miscue Analysis to Young Non-native Readers
- The Effect of Focus-on-Form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Grammatical Morphemes by a Korean EFL Learner
- A Descriptive Study of a Third-Grade ESL Classroom and What Children Do With Writing
- 농촌 초등학교 영어 수업 들여다보기 -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고찰
- Contextualized Language Instruction in the EFL Context - The Case of Listening Skill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