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포지션별 슬관절 및 견관절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비교 연구
이용수 32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mong ice-hockey athletics"s position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 저자명
- 박영균(Park young-Kyun) 전종국(Chun Jung-Kook) 이재문(Lee Jae-Mun)
- 간행물 정보
- 『체육학논문집』제29집, 187~20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2.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sokinetic muscular among ice-hockey athletics"s positions(FW, DF, GK).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29 athletes(FW 10, DF 10, GK 9), and the isokinetic strength were tested by knee and shoulderat. Knee tests processed at 5 times to 60°/sec, 5 times to 120°/sec, 20 times to 180°/sec, and shoulder tests processed at 5 times to 60°/sec, 90°/sec, 120°/sec with the CYBEX NORM system. The test items were peak torque, total work, average power, and H/Q rati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r both knee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in extension, and between DF/GK and FW in flexion.
2. For both knee extension total work,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GK and FW in extens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sitions in flexion.
3. For both knee extension and flexion average power,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4. For knee H/Q ratio,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sitions.
5. For both shoulder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6. For both shoulder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7. For both shoulder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in flex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sitions in extension.
8. For shoulder H/Q ratio,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sitions.
1. For both knee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in extension, and between DF/GK and FW in flexion.
2. For both knee extension total work,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GK and FW in extens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sitions in flexion.
3. For both knee extension and flexion average power,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4. For knee H/Q ratio,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sitions.
5. For both shoulder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6. For both shoulder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7. For both shoulder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F and FW in flex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sitions in extension.
8. For shoulder H/Q ratio, showed DF, GK, FW ord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ositio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아이스하키 선수와 일반 대학생의 어깨관절, 팔굽치관절, 무릎관절, 허리부위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
-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정신력 조사 연구
- 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자아개념 비교 연구
- 엘리트 알파인 스키 선수와 대학서클 알파인 선수의 등속성 근력 발현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포지션별 슬관절 및 견관절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비교 연구
-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 discrepancies and standardization of experimental design -
- 한국 프로농구 선수들의 성격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 운동선수의 성격유형에 관한 비교 연구
- 경희대학교 체육학 논문집 투고 규정
- 태권도 수련이 아동기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
- 수중재활 운동이 여성 요통환자의 유연성과 복부 근력에 미치는 영향
- 스키상해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 슬관절 굴근과 신근 기능의 평가를 통한 배구선수의 운동 특성 연구
- 초등학교 아동의 태권도 수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태극권 수련자들의 체력 및 심박수 변화에 관한 연구
- 중학교 학생들의 체조수업에 대한 관심도 조사 연구
- 운동유형에 따른 중년 여성들의 신체구성 및 심폐기능에 관한 비교 연구
- 시각장애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프로골퍼 지망생의 성격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 중ㆍ고교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기질 특성에 관한 연구
- 알파인 스키 국가대표선수와 국가대표 상비군 선수의 요부 및 슬관절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비교 연구
- 배구심판의 주의집중 유형분석 - 공인심판을 중심으로
- 중학교 교사의 여가활동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중등교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Role of Biological Sex in the Onset of Muscle Atrophy
-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6권 2호 목차
- 태권도 남자 대학생 품새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수중 운동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