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포츠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따른 브랜드 자산 비교 연구
이용수 180
- 영문명
- Brand equity comparative study according to Sports Brand Identity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 저자명
- 김도균(Do-kyun Kim) 정아람(A-Ram Jung)
- 간행물 정보
- 『체육학논문집』제32집, 119~12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youth" brand equity with regard to sports brand identity. The subjects included 107 male and 106 female teenagers who live in the Seoul area and who were selected by a multi-stag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suing a questionnaire about sport corporations" brand equity,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indicate the degree of importance they place on certain variables on 15 point Likert scale by the self administration method. The scales were deemed reliable since the Cronbach a for the brand awareness and brand preference, brand association image, brand equity scales were .8325, .7289, .8247, .7582, respctively. As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1. The brand identity element is important and recognized. 2. The brand which it prepers most was NIKE, character and high class it is with it appeared with the reason. 3. According to the specics of the population statistics(sex, area, grade) each brands showes differences in the brands equity(brand awareness and brand preference, brand association image, brand equity). 4. There was a difference to the brand equity(brand awareness and brand preference, brand association image, brand equlty) which it follows in population statistics quality(sex, area, grade) of the outside brand. 5. There was a difference to the brand equity(brand awareness and brand preference, brand association image, brand equlty) which it follows in population statistics quality(sex, area, grade) of the domestic brand. 6. There was a difference to the brand equity(brand awareness and brand preference, brand association image, brand equlty) which it follows in population statistics quality(sex, area, grade) of the domestic brand and outside bran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희대학교 체육학 논문집 투고 규정
- 골프연습장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만성요통환자의 유연성과 근력에 Thera-Band 스트레칭이 미치는 효과
-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도장만족에 관한 연구
- 태권도 경기 심판 판정 개선에 관한 연구
- 스키 골절 상해에 관한 조사 연구
- 견관절과 슬관절 등속성 근력이 골프 스윙 스피드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장기간의 걷기 트레이닝이 중년 여성의 체력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 대학ㆍ실업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정신력 조사분석
- Comparison of body fat and post-exercise blood lactate with aerobic power
- 스포츠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따른 브랜드 자산 비교 연구
- 점증적 요통 체조와 교육이 만성 요통환자의 근지구력, 유연성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ge, exercise, and exercise training on immune function in the elderly
- 치어리더들의 역할인식이 직무만족과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시장세분화를 위한 골프갤러리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6주간의 진동트레이닝 및 식이 병행요법이 중년 비만 여성의 신체구성과 체력,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 농구코치의 지도유형에 따른 선수들의 인지도 연구
- 국내 프로야구 구단의 브랜드 이미지 강화전략
- 중ㆍ고등학생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와 친 사회적 행동의 관계
- 초등학생의 과외체육활동이 학교 체육수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Periodising Cold Water Immersion in Team Sports: Maximising Recovery and Adaptation
- Physical Activity Vol. 3 No. 1 Table of Contents
- Role of Biological Sex in the Onset of Muscle Atrop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