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여성의 외모에 대한 自己槪念과 衣服行動에 관한 硏究
이용수 6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Clothing Behavior of Korean Women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유수경(Yoo Soo-Kyung)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11집, 159~17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2.02.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ree -fold :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clothing behaviors, (2)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by age, (3)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clothing behaviors by age.
The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was measured by Shin"s questionnaire (1978)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study For the measurement of Clothing Behaviors, Creekmore"s scale (1966) was used. Date wase collected from 426 women dwelling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to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tests,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clothing behaviors.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aesthetic, and between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psychological depen dence, and between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Social attention, and between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interest.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modesty.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ccording to age.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categories of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age. Age affected directly aesthetic, modesty, social approval, social attention and interest.
목차
Ⅰ. 序論
Ⅱ. 交獻調査 및 理論的 考察
Ⅲ. 問題의 敍述
Ⅳ. 方法 및 節次
Ⅴ. 結果
Ⅵ. 結論
參考文獻
〈Summanry〉
Ⅱ. 交獻調査 및 理論的 考察
Ⅲ. 問題의 敍述
Ⅳ. 方法 및 節次
Ⅴ. 結果
Ⅵ. 結論
參考文獻
〈Summanr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